무너졌던 빌라 시장 살아난다…전세보증 사고율 뚝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무너졌던 빌라 시장 살아난다…전세보증 사고율 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02-21 11:20

본문


무너졌던 빌라 시장 살아난다…전세보증 사고율 뚝

사진은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빌라촌. /뉴스1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전세사기에 직격탄을 맞았던 빌라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제2의 빌라왕 사태를 막기 위한 정부 노력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요건 강화 정책이 작동한 결과로 풀이된다.

21일 HUG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에서 발생한 전세보증 사고율은 4.0%최근 3개월로 1년 전7.7%보다 3.7%포인트p 줄었다. 지난해 4월 10.3%까지 치솟았던 사고율은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하락세다.


1월 기준 보증사고4850건→2989건, 사고금액1조 709억 원→6028억 원은 전년 대비 각각 38.4%1861건, 43.7%4681억 원 감소했다. 특히, 전세사기 진앙지로 불렸던 △서울 강서구17.6%→7.0% △인천 미추홀구45.7%→19.8% 사고율은 절반 이상 급감했다.

서울 강서구의 황수혁 백구공인중개사 사무소 중개사는 "빌라왕 사태 이후 임대인, 임차인 모두 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하는 조건으로 전세계약을 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2022년 전세사기가 터진 뒤 세입자들은 전세 계약 시 HUG 보증 가입을 특약으로 내걸었고, 집주인도 이에 동의하고 있다.


서울 종로구 주택도시보증공사 지사 앞으로 한 시민이 지나고 있다. 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HUG는 이들 물건의 계약 만기가 도래하면서 보증사고율이 낮아지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HUG 관계자는 "2024년 하반기부터 부채비율이 높은 주택의 만기 도래 보증 금액이 적어지면서 보증사고 건수와 사고율이 모두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른바 공시가격 126%룰도 한몫했다. 2023년 5월 HUG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기준을 공시가격의 150% 이하에서 126% 이하로 강화했다. 전세사기 및 깡통전세 방지, 재정 안정화, 세입자 보호 등을 위한 조치였다.

인천 조광석 홈타운 공인중개사 대표는 "현재 미추홀구뿐 아니라 인천 모든 지역은 공시가격 126%룰에 맞춰 중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서울, 경기 등 일부 지역은 빌라 전셋값마저 오르면서 시장은 더욱 안정화될 전망이다. HUG 관계자는 "올해부터 전세보증 사고가 본격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수도권과 지방의 전셋값 흐름이 달라 지역 간 보증사고 건수와 사고율은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joyongh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31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42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