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추락 사망사고 67%는 시공사 책임
페이지 정보

본문
사망자 38%가 60대 이상…사고 절반은 소규모 현장서 발생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건설현장 추락 사망사고의 67%는 안전 설치물을 설치하지 않거나 안전교육을 제대로 하지 않은 시공사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락 사망사고의 43%는 50억원 이하 소규모 현장에서 일어났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2023년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에 신고된 건설현장 추락 사망사고 117건을 분석해 27일 발표한 결과다.
추락 사망사고는 비계·지붕·철골부재 등 높은 곳에서 이뤄지는 작업에서 39.4%가 발생했다.
근로자가 방심하기 쉬운 단부통로 끝같이 단차가 끊어지거나 잘린 부분·개구부 작업 때 발생한 사고는 27%, 건물 외부 벽체에 설치하는 대형 거푸집인 갱폼Gang Form 작업 때 사고는 15%를 차지했다.
추락사고는 42.7%가 50억원 미만 공사 현장에서 일어났으며 1천억원 이상 대형공사장 사고가 18.8%, 20억∼200억원 미만은 16.2%였다.
공공공사15.6%보다는 민간 공사84.4%에서 발생한 추락 사망사고가 많았다.
사망자 연령대를 분석해보니 60대 이상 사망자가 45명38%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38명32%, 40대는 22명19%이었다.
20대 이하 청년층 사망자5명의 경우 추락사고 80%인 4명이 1년 미만 저경력자였다.

[국토교통부 제공]
추락사고 현장을 점검한 결과 안전시설이 갖춰지지 않는 등 현장관리가 미흡하고, 공사 관계자의 안전의식이 부족한 점이 공통적인 문제로 지적됐다. 안전 교육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안전시설물 미설치 등 시공사가 원인이 된 추락 사망사고가 66.7%였고, 나머지는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은 근로자 책임이 큰 사고였다.
최근 추락사고 사례를 보면, 마을회관 지붕 누수를 보수하기 위해 지붕에서 작업하다 떨어져 사망한 60대 근로자는 안전대를 지급받지 못했고 안전 난간도 없는 상태에서 일했다.
한 아파트 재건축 공사현장에서는 에어컨 실외기실 방수 작업을 위해 20대 근로자가 창호를 밟고 작업하다 창호가 파손되며 추락해 사망했다. 이 현장에는 하도급 현장대리인이 상주하지 않고 있었으며, 위험작업 교육 없이 6개월 미만 저숙련자를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chopark@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정권교체 48%·재창출 42%…이재명 31%·김문수 13%[NBS]
- ☞ 혈육보다 낫다…中서 독거노인 12년 돌본 이웃에 전재산 상속
- ☞ 선베드 누워 네타냐후와 칵테일…트럼프 가자 홍보 영상 역풍
- ☞ 재판 영상 공개된 조영남 매니저…대법 "국가 배상책임 없어"
- ☞ 강원 고성 숙박시설서 10개월 남아 물에 빠져 숨져
- ☞ 한강버스 여의도에 떴다…배 타고 출퇴근 상반기 중 가능
- ☞ 인천 빌라서 불…방학 중 집에 혼자 있던 초등생 의식불명
- ☞ 흉기 난동범에 실탄 쏴 사망케 한 경찰관…유사 판례 정당방위
- ☞ 수서역 폭파 이어 광명역 폭파 글 쓴 20대 항소심도 실형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동물학대범은 다시 동물 못 키운다…유기범은 벌금 최대 500만원 25.02.27
- 다음글작년 경지면적 150만ha 턱걸이…올해 식량안보 마지노선 무너지나 25.02.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