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생부 기업 5년래 최다인 231개…고금리에 무너졌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살생부 기업 5년래 최다인 231개…고금리에 무너졌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2회 작성일 23-12-18 16:39

본문

뉴스 기사
- 금감원, 2023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발표
- 전년대비 46개사 증가…D등급 대기업, 3년만에 출현
- 금융권 건전성 영향은 제한적…BIS비율, 0.02%p 하락
- 금감원, 워크아웃 등 등급별 사후조치 시행


[이데일리 송주오 정병묵 기자] 기업구조조정이 현실로 다가왔다. 3고고금리·고물가·고환율 위기 속에 구조조정이 필요한 부실징후기업이 전년보다 46개 늘어난 231개에 달했다. 올해는 대기업도 9개 선정되면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9개으로 회귀했다. 특히 최근 2년 동안 대기업 중에는 회생절차법정관리가 필요한 D등급이 전무했지만, 올해는 2개나 나왔다. 금리상승의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살생부 기업 5년래 최다인 231개…고금리에 무너졌다
자료:금융감독원 ◇법정관리 필요한 대기업 2개…2020년 이후 3년만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 2023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231개사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전년 대비 46곳 늘었다.

신용위험평가는 은행권이 구조조정에 들어갈 대상 기업을 골라내는 절차다. 채권은행은 매년 고객 기업에 대한 재무평가 등의 기본평가를 거쳐 한계기업이나 완전자본잠식자본총계 마이너스기업 기업 등 일정 요건에 해당하면 추가로 촘촘한 세부평가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기업을 네 등급A·B·C·D으로 분류한 뒤 C와 D기업에 각각 워크아웃채무조정과 회생절차를 추진한다.

올해 워크아웃이 필요한 C등급은 118개사, 회생절차가 적합한 D등급은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34개, 12개씩 늘어났다. 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 대기업은 9개C등급 7개·D등급 2개사, 중소기업은 222개C등급 118개·D등급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7개사, 39개사 증가했다.

D등급 대기업의 출현은 2020년2개 이후 3년 만이다. 2021년과 2022년에는 D등급을 받은 대기업이 없었다. 특히 올해 D등급을 받은 대기업 2개는 지난해까지 정상기업으로 분류됐지만, 올해 회생절차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받았다. 불과 1년 만에 상황이 바뀐 것이다.

이런 경영환경의 변화는 부실징후기업 숫자에도 나타난다. 올해 부실징후기업 수는 5년래 최대치다. 지난해부터 증가 추세로 바뀐 뒤 그래프가 더 가팔라졌다.

업종별로는 부동산22개, 도매·상품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에서 부실징후기업이 많이 나왔다. 전년 대비 고무·플라스틱11개, 자동차8개, 부동산7개, 도매·상품중개6개 등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늘어났다.

금감원 측은 “2022년에 이어 대내외 경기 침체 및 원가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이어지고 올해 본격 금리 상승 영향을 받으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PS23121800795.jpg
정기 신용위험평가 개요 및 절차자료:금융감독원 ◇금융권 건전성 영향 제한적…등급별로 워크아웃·법정관리 등 수행

다만 금감원은 국내 금융권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관측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가 지난 9월 말 기준 2조7000억원 수준에 그치기 때문이다.

또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500억원으로 이에 따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 변화폭은 0.02%포인트에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말 국내은행 BIS 총자본비율은 16.68%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을 대상으로 등급별 사후 조치에 착수할 계획이다. 우선 자구계획 전제 하에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큰 C등급 기업은 워크아웃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한다.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D등급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유도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한다.

또 일시적 유동성 위기 탓에 부실징후 가능성이 있는 B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자구계획 이행과 함께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의 보증 제공을 통해 채권금융회사 공동으로 만기 연장, 신규 자금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금감원 측은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위기극복을 지원할 것”이라며 “경영위기 중소기업이 유관기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지원을 폭넓게 받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 관련기사 ◀
☞ [단독]마약에 취한 코레일 직원 KTX 정비 아찔
☞ ‘두 번째 경복궁 낙서 용의자 검거…추가 용의자 추적 중종합
☞ 두통 호소 70대, 응급실서 7시간 후 사망한채 발견…왜
☞ `친구 아빠 롤렉스` 훔친 중학생, 장물로 넘긴 어른들…처벌은?
☞ 인텔 AI PC시장 열었다…차세데 AI 프로세서 공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송주오 juoh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63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87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