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도 3분기 가계 실질소득 0.2%↑…5분기 만에 증가 전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고물가에도 3분기 가계 실질소득 0.2%↑…5분기 만에 증가 전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3-11-23 12:02

본문

뉴스 기사
- 통계청, 2023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 근로소득 전년比 3.5% 증가…10분기 연속 증가
- 고물가에 연금 수급액 5.1%↑…이전소득 11.7%↑
- 해외여행 증가 영향에 소비지출 3.9% 늘어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지난 3분기 가계 실질소득이 5분기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근로소득이 10개 분기 연속 증가한데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물가가 급격히 오르면서 이에 연동해 국민연금·기초연금 등 각종 연금도 그만큼 연동해 오른 영향이다.

고물가에도 3분기 가계 실질소득 0.2%↑…5분기 만에 증가 전환
1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이 장을 보며 지갑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503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3.4%증가했다.

소득 유형별로 보면 전체 소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이 322만 3000원으로 3.5% 늘었다. 10개 분기 연속 증가세다. 반면 사업소득은 98만 4000원으로 0.8% 감소했다. 지난 2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브리핑에서 “취업자 증가 및 임금상승 영향으로 근로소득은 상승했지만, 사업소득은 원자재값·고금리 등 사업비용 증가에 집중호우로 농가소득이 줄어들면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물가 변동 영향을 제거한 실질 소득도 0.2% 증가했다. 지난 2022년 2분기6.9%이후 5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통상 물가가 뛰면 같은 월급으로 살 수 있는 상품의 총량이 줄기 때문에 실질 임금은 쪼그라든다. 실제 지난해 3분기-2.8%, 4분기-1.1%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물가 상승률 둔화 영향으로 보합0.0%이었고 2분기-3.9%를 기록하며 4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다.

실질 소득이 증가한 것은 근로소득 증가세에 각종 연금이 포함된 이전소득이 늘어나면서다. 이전소득은 72만 9000원으로 1년 전보다 11.7% 늘었다. 2022년 2분기44.9% 이후 5분기 만에 증가했다. 공적 이전소득이 50만원으로 16.0% 늘어난 영향이다. 각종 연금은 소비자물가지수에 연동되는데, 작년 하반기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올해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수급액이 각각 1년 전보다 5.1% 올랐다. 또 지난해까지 만 0세와 1세에 매달 각각 70만원, 35만원씩 지급하던 부모급여 금액이 100만원, 50만원으로 상향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3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87만 10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4.0% 증가했다. 이 중 소비지출은 월평균 280만 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9% 증가했다. 해외여행 증가로 오락·문화 지출이 16.7% 늘었고, △주거·수도·광열7.9% △식료품·비주류음료6.0% 등의 지출도 증가했다. 외식비 상승 영향으로 외식 및 배달 수요가 줄어들면서 음식·숙박 지출은 2.1%로 2분기6.0%보다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비소비지출은 106만 2000원으로 4.3% 증가했다. 고금리 영향으로 이자 비용이 24.2% 늘어난 영향이다. 이자 비용은 지난해 3분기19.9%를 시작으로 4분기28.9%, 올해 1분기42.8%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후 2분기42.4%로 상승폭이 점차 둔화하고 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은 뺀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97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1%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6만 2000원으로 1.2% 증가했다.

▶ 관련기사 ◀
☞ 美 법원 "테슬라, 오토파일럿 결함 알았다"…주가 급락
☞ 제주 우도 여행 일가족, 사진 찍자 우르르 추락…무슨 일
☞ "이러다 10만원 넘겠다"…월세보다 더 오른 관리비
☞ 성매매 집결지 용주골 철거 시작…업주들 고함지르며 반발
☞ "1억 주면 조용할래?"...이선균 협박 여실장 채팅 공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은비 demete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41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95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