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32살인데 누군 집주인, 난 월세살이"…가정 꾸리는 청년 주거 양극...
페이지 정보

본문

부동산 급등기 자산 격차가 확대되면서 가정을 꾸리는 청년 세대의 전세 세입자 비율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월세·자가 거주 비율은 갈수록 늘어나는 ‘주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발표한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에는 이런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는 5년 단위로 시행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cohort·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 분석해서 1970∼1974년생, 1975∼1979년생, 1980∼1984년생, 1985∼1989년생 일반가구원의 주택 점유 형태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31∼35세이하 30대 초반 연령대 가구원 중 월세 형태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1970∼1974년생이 30대 초반이던 때에는 월세 거주 비율이 17.3%였지만, 1975∼1979년생이 30대 초반이 된 시기에는 이 비율이 19.0%로 늘었다.
월세 비율은 1980∼1984년생 20.8%, 1985∼1989년생 21.3%로 계속 늘었다.
30대 초반에 ‘월세살이’를 하는 비율이 갈수록 늘고 있는 것이다.
자가에서 사는 사람의 비율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30대 초반 자가 거주 비율은 1970∼1974년생이 48.1%, 1975∼1979년생이 46.6%, 1980∼1984년생이 51.1%, 1985∼1989년생이 49.0%였다.
다소 등락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최근에 가까울 수록 자가 거주 비율이 증가하고 는 추세라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반면 30대 초반 시기 전세 거주 비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우하향’하는 흐름을 보였다.
보고서는 “가족 형성이 가장 활발한 30대 초반 청년층의 주거 점유 형태의 상반된 모습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면서 “경제적 여력이 있는 청년들은 전세에서 자가로, 그렇지 못한 청년들은 전세에서 월세로 이동하며 양극화가 심해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자가 소유 비율은 역대 부동산 정책 변화와 경제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도심 싱크홀 우려에 국토부 "철도지하화 추진 문제 없어" 25.03.27
- 다음글SK스퀘어 "AI·반도체 투자기업 정체성 강화할 것" 25.03.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