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싱크홀 우려에 국토부 "철도지하화 추진 문제 없어"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 용산 선로 모습. 2024.10.23/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서울 강동구에서 직경 20m의 땅꺼짐싱크홀 사고가 발생하면서 정부가 추진하는 철도지하화 사업과 관련 땅꺼짐에 대한 대비책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심 지하 인프라 필요성 증가…싱크홀로 사업 중단은 아냐
27일 건축·토목 전문가들은 싱크홀 발생이 철도지하화 사업의 당위성을 흔들지는 못할 것으로 본다면서도 사업 예정지 지반의 안전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싱크홀 연구를 30여 년 해 온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이번 강동구 싱크홀 사고를 보면 주변 토목공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관리 감독을 제대로 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싱크홀 발생 때문에 지하철, 도로 지하화 사업 등을 중단하는 것은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싱크홀 사고는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는데 이번 사고처럼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막지 못하는 상황은 없어야 한다"며 "향후 예방 차원의 모니터링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시공사들의 토목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인데 문제는 공사비를 제대로 받고, 충분한 시간을 갖고 시공하느냐인가"라며 "아직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이번 사고에서도 충분한 공사비용과 시간이 들어갔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수권 동양미래대 건축학과 교수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심 내 지하철 사업, 철도지하화 사업 등의 필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며 "이런 이유에서 사업 중단보다는 해당 사업이 진행되는 인근 지반과 지하수 등의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준호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지하철과 같은 지하 인프라는 도시가 생존하려면 계속 공급돼야 한다"며 "안전을 강화하면서 철도지하화 사업 추진을 하면 도시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 강동구 싱크홀 발생 현장. 2025.3.25/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국토부 "사업 영향 없어…조사 마무리 후 싱크홀 대책 검토"
현재 철도지하화 사업을 진행 중인 국토교통부는 이번 싱크홀 사고 조사 결과를 지켜보면서 향후 대책 등을 검토할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1차 선도사업으로 선정된 부산, 대전, 안산에서 예산을 편성하는 등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철도지하화 사업에서는 싱크홀 예방 대책뿐만 뿐만 아니라 모든 안전이 제일 중요한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서울시에서 강동구 싱크홀 사고 조사를 하고 있는데 원인이 규명되면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며 "원인 규명 후 국토부 차원에서도 철도 지하화 등에서 싱크홀 사고 예방 대책 등을 검토해 볼 것"이라고 부연했다.
철도지하화 1차 선도사업지로 선정된 곳은 △경부선 부산진역~부산역2.8㎞ △대전조차장2.4㎞ △안산선 초지역~중앙역5.1㎞ 등 3곳이다.
철도지하화 사업은 도시공간 혁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철도 지하화와 상부 개발을 통합 추진한다. 재원은 상부 개발 수익으로 지하화 비용을 충당하고, 필요시 채권 발행도 진행한다. 국토부는 올해 말까지 철도지하화 통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d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토허제 확대 지정에…잠실 아파트값 순식간에 3억 뚝 25.03.27
- 다음글"같은 32살인데 누군 집주인, 난 월세살이"…가정 꾸리는 청년 주거 양극... 25.03.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