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승객 다 뺏긴다"…대박 터졌던 항공사들 발칵
페이지 정보
본문
투자 않고 증편만…LCC 호실적 모래성 되나
8社 1분기 국제 항공편 45% 확대 인력 안 늘려 정비 인프라 미비 회항 잇따르고 결항·지연 빈번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잦은 결항과 지연으로 눈총을 받고 있다. 엔데믹 이후 폭발한 여행 수요를 잡기 위해 준비가 덜 된 상태에서 운항 횟수를 대폭 늘린 탓이다. 불만이 커진 승객들이 국내 LCC를 떠나면, 그 자리를 외국계 항공사들이 채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운항편 45% 확대 후 결항 잇따라
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국내 8개 LCC는 올 1분기 국제선 항공편을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5% 늘렸다. 이들 8개사가 1분기에 운항한 국제선 편수만 4만2110회에 달했다.
작년 말부터 시작된 증편 경쟁은 결항과 운항 지연으로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릴 때 감축한 정비 인력과 기자재 등을 그대로 둔 채 취항지를 대폭 늘린 탓이다. 에어프레미아가 대표적이다. 항공기 정비를 이유로 이달 스케줄 조정을 예고한 항공편만 인천~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도쿄 등 8편이다. 지난 2일과 3일엔 방콕, 로스앤젤레스 등 항공편이 지연됐다. 지난달 29일엔 인천~일본 나리타 항공편에서 여압 장치 이상이 발견돼 산소마스크가 내려오는 소동 끝에 1시간 만에 회항하기도 했다. 국내 LCC 최초로 장거리 노선을 띄운 에어프레미아는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끌자 작년 1분기 449편이던 국제선 항공 편수를 올 1분기 695편으로 확대했다. 항공기 보유 대수는 그때나 지금이나 5대로 똑같은 데도 그랬다. 에어프레미아 관계자는 “나리타행 비행기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해당 항공기 운항을 중지하기로 한 탓에 항공 스케줄이 변동됐다”며 “인테리어를 정비한 항공기를 이번주에 투입하고, 올해 2대를 추가 도입하면 어느 정도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비 문제는 ‘LCC 맏형’인 제주항공에서도 발생했다. 지난 3월 제주에서 김포로 가려던 항공기가 정비 등의 문제로 지연된 것. 작년 10월과 11월엔 운항 중 배기가스 이상 고온으로 엔진 한 개를 끈 채 회항하기도 했다. 티웨이항공 역시 올 1월 베트남 깜라인공항에서 출발하려던 항공기가 기체 결함으로 15시간 지연되는 등 작년 하반기부터 지연과 결항이 잇따르고 있다.
외항사 점유율 29%→33%로 확대
운항편 확대는 LCC들을 살찌웠다.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에 사상 최대 분기 매출5392억원을 냈다. 1년 전보다 28% 늘었다. 제주항공 하나뿐이던 ‘매출 1조 클럽’ LCC 멤버에 진에어와 티웨이항공이 지난해 가입하는 등 다들 몸집이 커졌다. 하지만 눈앞의 이익을 잡는 데 올인하느라 운항·정비 등 안전 관련 인프라 확충에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LCC의 운항 승무원 자격 기준은 ‘비행경력 250~300시간’으로 1000시간 이상인 대한항공의 3분의 1 수준이다. 모회사의 지원을 받는 진에어대한항공, 에어부산아시아나항공을 빼면 자체 정비 능력이 떨어져 해외 업체의 도움을 받는 실정이다.
업계에선 LCC들이 ‘정시 비행’ 약속을 못 지키는 일이 잦아지면 항공료 가격차가 크지 않은 외항사에 고객을 빼앗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제선에서 국적기가 차지하는 비중작년 1분기 70.9%→ 올 1분기 67.2%의 하락세가 한층 더 가팔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김광옥 한국항공대 경영학부 교수는 “대다수 LCC가 항공편을 대폭 확대한 반면 과거 감축한 정비인력은 그만큼 늘리지 않았다”며 “결항과 지연이 반복되면 고객은 떠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본 인프라 확충부터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
관련링크
- 이전글[집파보기] 치솟는 재개발·재건축 공사비…일반분양에 부담 떠넘긴 조합 24.05.07
- 다음글현대홈쇼핑, 1분기 매출·영업이익 급증…한섬·현대퓨처넷 편입 효과 24.05.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