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어서 못 사는 중소형 아파트…귀하신 몸 된 이유는?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없어서 못 사는 중소형 아파트…귀하신 몸 된 이유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4회 작성일 24-04-02 11:19

본문

뉴스 기사
없어서 못 사는 중소형 아파트…귀하신 몸 된 이유는?

최근 부동산시장에서 ‘중·소형 아파트는 없어서 못 산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소규모 가구 증가와 고분양가 및 고금리 기조가 겹치면서 수요가 확대됐지만 공급물량은 감소해서다. 전문가들은 중·소형면적 아파트 품귀 현상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한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평형 아파트는 1순위 청약에 58만3401명이 몰렸다. 같은 기간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 평형 아파트31만5708명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거래량도 늘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중·소형 평형 아파트 매매 비율은 전체 거래량41만1812가구의 48.03%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 발표가 시작된 지난 2006년 이후 최고치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주택시장이 실수요 위주로 재편되면서 진입장벽이 낮고, 입주 후에도 유지 관리비가 적은 중·소형 평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다. 여기에 1·2인 가구가 해마다 30만 가구 이상씩 증가해 소비층 확보가 어렵지 않은 데다가, 신규 단지의 경우 최신 설계 적용으로 넓은 공간감을 누릴 수 있게 된 점 등이 인기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반면 중·소형 평형의 물량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올해 전국에 공급되는 중·소형 평형의 아파트는 31만1773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33만6777가구 대비 2만5004가구 줄어든 규모다. 2025년22만236가구과 2026년12만3449가구에도 중·소형 평형의 공급 축소가 예정돼 있다.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최근 분양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으로 수요자들의 자금 마련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비교적 낮은 가격에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중·소형 평형에 청약통장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라며 “여기에 공급물량이 크게 줄어 희소성이 커진 만큼 올해에도 중·소형 평형의 인기는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건설사들도 중·소형 평형 공급에 힘쓰고 있다. GS건설과 한화건설부문은 광주 북구 운암3단지주택재건축사업을 통해 ‘운암자이포레나 퍼스티체’를 이달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총 3214세대 대단지로 조성되는 만큼 전용면적 59~84㎡ 중·소형 평형 일반분양 물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롯데건설은 경기 광명시 광명9R구역주택재개발을 통해 ‘광명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선보인다. 이 단지는 총 1509세대로 올라서는데, 이 중 전용면적 39~59㎡ 중·소형 평형 총 533세대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책정됐다.

현대건설은 전남 여수시 소라면 죽림리에서 ‘힐스테이트 죽림더프라우드’의 청약 일정을 소화할 방침이다. 대우건설도 강원 원주시 원동 ‘원주 푸르지오 더 센트럴’의 분양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 단지는 총 1502세대 규모로 지어지는데, 이 가운데 전용면적 59~108㎡ 1273세대를 일반분양한다.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38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95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