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수협에 경영유의…500억 해외투자 전액 상각·손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금감원, 수협에 경영유의…500억 해외투자 전액 상각·손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4회 작성일 23-09-24 10:09

본문

뉴스 기사
금감원, 수협에 ‘경영유의’… 500억 해외투자 전액 상각·손실

기사관련사진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표지석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500억원 규모의 해외 대체투자 원금 전액을 날리고 후속 조처가 없었던 수협중앙회에 대해 ‘경영유의’ 조치를 내렸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수협중앙회에 대한 검사에서 해외 대체투자 심사 업무 역량 강화 등을 요구하며 경영유의 사항 9건, 개선 사항 5건을 통보했다. 경영 유의 및 개선 사항은 금융회사의 주의 또는 자율적 개선을 요구하는 행정지도 성격의 조치다.

금감원에 따르면 수협중앙회는 지난 2018년 3월 4000만달러 규모의 해외 대체투자에 나섰다가 차주의 최종 부도처리로 2020년 282억원, 2021년 219억원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했다. 500억원에 달하는 투자 전액을 상각 및 손실 처리한 것이다.

금감원은 투자 결정 당시 담보인정비율LTV, 사업 진행 관련 서류 검증 등 투자 위험 요소에 대해 사전에 충실히 검토해야 했는데도 이를 소홀히 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해당 투자 건과 관련해 책임 소재 규명 및 재발 방지 대책 등을 마련한 사실이 없었다는 점도 꼬집었다. 금감원은 “자체 내부감사 등을 통해 책임 소재를 가리는 등 적절한 조처를 하고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업성 평가 등 심사 업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협 일부 조합이 태양광발전 사업과 관련해 실행한 대출 9건도 공사가 중단돼 있음에 불구, 자산 건전성을 ‘정상’으로 분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조합이 자산 건전성을 재분류하도록 지도할 것을 수협중앙회에 요구했다. 금감원은 자산·부채의 만기 불일치나 예상치 못한 자금 유출 등에 대응하지 못하는 유동성 리스크에 대한 관리 강화도 주문했다.

수협중앙회의 자금 조달 만기가 특정 시기에 집중되고, 예수금 유출 등으로 채권을 중도 처분함에 따라 자산·부채 만기 불일치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는데도 급격한 예수금 유출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최근 금융권 대형 금융사고들이 잇따르는 가운데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명령 휴가 제도를 개선하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내규에는 사고 발생 취약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에 대해 연간 1회 이상 5일 이내의 범위에서 불시에 명령 휴가를 실시하게 돼 있다.

그러나 금감원 검사 결과 2014년 이후 중앙회 및 91개 전체 조합 모두 명령 휴가를 실시한 사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승해 기자 hae810@viva100.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78
어제
1,161
최대
2,563
전체
424,77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