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찐부자만 산다? 불황 패싱 명품마저 양극화 [언박싱]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이제 찐부자만 산다? 불황 패싱 명품마저 양극화 [언박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8회 작성일 24-04-12 11:10

본문

뉴스 기사
영업이익률 10~30% 이르는 명품사


이제 찐부자만 산다? 불황 패싱 명품마저 양극화 [언박싱]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경기 침체와 해외여행 정상화로 2030대 고객이 이탈했고, 실수요자 중심으로 명품 시장이 개편되고 있습니다.” 백화점 관계자

명품 시장에서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에·루·샤’로 불리는 하이엔드 명품은 여전히 잘 팔리지만, 가격대가 상대적으로 낮은 매스티지대중 명품, MassPrestige product의 실적은 기대 이하다. 올해 1분기 백화점을 중심으로 명품 매출이 다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양극화는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명품 중의 명품’이라고 불리는 에르메스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23%, 12% 상승한 7972억원, 2357억원이었다. 루이비통코리아는 전년 대비 매출이 412억원 감소한 1조6511억원이었지만, 영업이익은 2867억원을 기록했다.

두 브랜드의 영업이익률은 각각 30%, 17%대다. 불경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다른 업종보다 높은 편이다. 영업이익률이 5~10% 수준인 패션업계와 대비되는 수치다. 하이엔드 명품일수록 콧대는 더 높았다. 크리스챤디올꾸뛰르코리아도 지난해 매출이 12% 상승한 1조45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도 30% 수준이다.

20240322050651_0.jpg
케이팝K-POP 대표 걸그룹 블랙핑크의 멤버 지수가 본인이 앰버서더홍보대사로 활동하는 명품 브랜드 디올의 가방을 멘 사진을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했다. [지수 인스타그램 캡처]

하이앤드와 달리 메스티지는 판매량이 줄었다. 이는 명품 시장 전체의 성장률을 둔화시켰다. 컨설팅기업 베인앤드컴퍼니에 따르면 2021년 31.8%, 2022년 20.3%에 달했던 세계 명품 시장의 성장률은 지난해 3.7%에 그쳤다.

한 백화점 바이어는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 같은 하이엔드 명품은 성장세가 여전하지만, 중산층이 구입할 수 있는 매스티지masstige 브랜드는 전년 대비 보합 수준에 머물렀다”고 전했다.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이 정상화되면서 구매력을 가진 젊은 소비층이 해외로 눈을 돌린 현상도 국내 명품시장의 위축 요인으로 꼽힌다.

하이엔드 명품 수요가 백화점 매출을 견인하면서 업계는 소비 여력이 있는 VIP고객에 집중하고 있다. 최부유층을 겨냥한 명품 아동복 라인이나 주얼리가 늘어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실제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등 1분기 명품 매출 신장률은 각각 10.1%, 11.2%로 지난해 한 자릿수 성장률보다 개선됐다. 업계는 하이엔드 브랜드의 역할이 크다고 입을 모은다.

20240409050674_0.jpg
서울의 한 백화점 내 있는 에르메스 매장. [연합]

명품 브랜드들은 한국에 없던 품목을 내세워 매출 확대에 나서고 있다.

루이비통은 지난 5일 주얼리 전문 매장을 신세계 강남점에 열며 운영을 시작했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압구정본점에 베이비 디올 매장을, 판교점에 펜디 키즈를 열었다. 3월에는 판교점에 키즈 겨냥 몽클레어 앙팡을 추가로 열면서 명품 아동 MD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다. 성장이 빨라 오래 입지 못하더라도 명품 아동복을 소비할 여력이 있는 실수요자를 노린 전략이다.

갤러리아백화점은 서울 명품관 이스트 지하 1층 유휴 공간을 바꿔 명품시계 공간을 확대하고, 스위스 시계 브랜드 브레게와 오메가를 지난달 리뉴얼 오픈했다. 오는 6월에는 스위스 브랜드 파텍필립이 기존 매장을 2배로 넓혀 재개장할 예정이다.

서울의 한 백화점 관계자는 “경기 침체 속에서 실수요자 중심으로 명품 시장이 바뀌고 있다”며 “일부 브랜드는 중저가 상품을 단종시키는 등 하이엔드 럭셔리로 리브랜딩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40403050269_0.gif


hope@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결혼 준비 끝났는데…2억 빚 고백한 남친, 결혼 해도 될까요?”
▶ “커트 2만5000원”…박명수가 불지핀 미용실 가격 논쟁 ‘후끈’
▶ ‘슈퍼스타K 2’ 출신 박보람, 갑작스럽게 사망
▶ 홍준표 “한동훈, 셀카만 찍다 말아먹어”…이준석 “홍준표 총리도 방법”
▶ "놀이터에서 길고양이 밥 주는 캣맘…주지 말라고 해도 될까요"
▶ 장원영에 뉴진스까지 ‘전쟁 선포’…“美법원에 악성 유튜버 신원공개 요청”
▶ 아이유, 분위기 확 달라졌다..글로벌 뷰티 새 앰버서더로
▶ 외신 “尹, 총선 참패로 레임덕 빠질 것…탄핵 가능성”
▶ “푸바오 구른다고 큰 걱정마세요” 강철원 사육사 ‘건강이상설’ 일축
▶ “박근혜 만세” 함께했던 女가수 리아, 조국당서 당선…당시 상황 들어보니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82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89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