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혁신 초강수…디자인 조직 대수술[혁신으로 위기 돌파]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삼성전자 혁신 초강수…디자인 조직 대수술[혁신으로 위기 돌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3-30 18:41

본문

내부 경영진단 통해 재정비 속도
기존 인력 10% 타부서 전환배치
브랜드전략·제품기획 역할 수행


삼성전자가 디자인 조직 일부 인력 전환배치를 단행한다. 모바일경험MX, 영상디스플레이VD, 생활가전DA 등 디바이스경험DX 사업부문 전반의 디자인 인력 효율화를 통해 혁신을 이어갈 계획이다. 전반적인 디자인 전략 재정비와 조직운영 방식까지 손보는 구조적 개편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이건희 선대회장의 디자인 혁명을 계승·발전해 전사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사용자경험UX, 제품 디자인 등을 포함한 디자인 직군 인력 중 10%가량을 타 부서로 전환배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우면동 연구개발Ramp;D센터 등에서 근무하던 기존 구성원들은 디자인과는 거리가 먼 영업조직, 전략마케팅실 등으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 관계자는 "전환배치를 통해 전반적인 디자인 직군의 인력 수는 줄어드는 것으로 안다"며 "디자인 쪽은 인력을 줄이고, 인력이 부족한 부서에는 보강하는 조치"라고 전했다.

이번 전환은 단순한 순환배치를 넘어 조직 구조 재정비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반도체DS 부문을 중심으로 조직 전반에 대한 경영진단을 진행하며, 아픈 손가락을 살펴보고 있다. 디자인 조직 역시 이 같은 기조에 따라 내부적으로 진단을 진행, 인력 구조와 기능을 재정비하는 과정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MZ세대1980~2009년 출생에게 보다 소구력이 필요한 스마트폰, 스마트워치뿐 아니라 생활가전·TV 등 여타 사업부에서도 제품 간 디자인 정체성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이어지는 가운데, DX사업부의 전반적인 디자인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이 회장이 강조한 수시 인사 기조와도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회장은 최근 임원 교육에서 "국적과 성별을 불문하고 경영진보다 더 뛰어난 인재를 영입하고, 필요하다면 인사는 수시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실제 삼성전자는 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세계적 디자이너인 마우로 포르치니를 DX부문 최고디자인책임자CDO로 영입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하며, 외부인력 수혈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디자인 조직의 전환배치가 일회성 조치에 그치지 않고 브랜드 전략, 제품 기획, UX 등 관련 기능의 통합 및 재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디자인 체질 개선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동시에 노린 조치로 해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전환배치 이후에도 DX 각 사업부 내 디자인 조직의 역할 조정이나 기능 분화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디자인이 중요한 DX 부문에서 승부수를 띄우려는 작업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개그맨에게 가슴 성추행 당한 여배우 "중요 부위 내가 만지면.."
단독주택에서 발견된 남녀 시신, 둘 관계 알고보니.. 소름
자택서 숨진 故김새론, 김수현에게 남긴 마지막 편지 "집 주소가.."
아들만 5명 낳은 개그우먼 정주리, 놀라운 근황 "남편이.."
남편 전처와 절친이 된 아내의 반전 "우리 집에서.." 깜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031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32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