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만족도 4년 만에 하락…자살률 9년 만에 최고
페이지 정보

본문
‘국민 삶의 질’ 통계…연령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 떨어져
코로나19 이후 증가했던 한국인 삶의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 모두 지난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하위권이었으며, 자살률도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보고서 ‘국민 삶의 질 2024’를 보면 삶의 만족도는 2023년 기준, 6.4점으로 2022년6.5점보다 감소했다.
삶의 만족도는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0~10점으로 측정한다. 2017년에 6.0이었던 삶의 만족도는 코로나19 이후인 2022년에 6.5점까지 올랐지만 2023년 4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삶의 만족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한국인 삶의 만족도는 2021~2023년 6.06점으로 OECD 평균6.69점보다 0.63점 낮다. 38개국 중 만족도 순위는 33위로 하위권이었다. 한국보다 만족도가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 콜롬비아, 그리스, 헝가리, 포르투갈이었다.
지난해 가족관계 만족도는 63.5%로, 직전 조사인 2022년64.5% 대비 소폭 감소했다. 가족관계 만족도는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2020년에는 58.8%, 2022년에는 64.5%로 증가했으나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가족관계 만족도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았다. 13~19세의 80.8%가 가족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반면, 50~59세는 58.1%, 60세 이상에서는 55.0%만 만족한다고 답했다.
자살률은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2023년 전체 자살자 수는 1만3978명으로 인구 10만명당 27.3명이었다. 전년25.2명과 비교하면 2.1명 늘었다. 2014년27.3명 이후 9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OECD에서 작성하는 국제비교 자료 기준으로 한국의 자살률은 2021년 10만명당 24.3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리투아니아18.5명, 일본15.6명 등 자살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나라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2000년 이후 OECD 국가의 자살률은 대부분 하락 추세다. 2000년 자살률이 높았던 라트비아, 헝가리, 에스토니아, 핀란드 등의 국가는 이후 지속해서 하락해 현재 15명 미만을 기록하고 있다.
기대수명은 2023년 기준, 83.5세로 전년 대비 0.8년 증가했다. 2000년 이후 매년 0.2~0.6세 정도의 증가 폭을 보였던 기대수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주춤했지만, 최근 들어 다시 증가추세에 있다. 다만 건강의 질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건강수명’은 2021년 72.5세로 2020년과 같았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23년 기준 4235만원으로 2022년4147만원보다 2.1% 늘었다. 반면 소비자물가지수를 고려한 월평균 임금은 감소했다. 2023년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실질금액은 355만4000원으로, 전년 대비 3만8000원 줄었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이혼하자” 했다고…양주병 휘둘러 ‘부동산 1타 강사’ 남편 숨지게한 50대
· 대형마트 도넘은 악덕상술…“쓰레기만 골라 온라인 배송하나”
· “학원 준비물 챙긴다며 갔는데…” 예비 중학생, 아파트서 추락 사망
· “영차영차” 턱걸이 6회 성공한 김문수···고령 리스크 일자 건강 부각?
· [단독]“우린 역사의 흐름 속에” “대통령 뭘 노린거야” 계엄 때 군 간부들 자조·하소연 ‘고스란히’
· 국민의힘에도 비명태균계?···한동훈·유승민·안철수 연대론 대두
· “의장·교섭대표 연설 1면 싣지 않은 언론사 홍보비 제한해야”
· 경찰, ‘캡틴아메리카남’ 구속 수사 중…“육군 병장 출신, 미국 국적 아냐”
· [단독]헌법재판소 앞 난동부린 40대 윤석열 지지자 현행범 체포
· 친한계 신지호 “권영세·권성동 ‘쌍권’ 위에 전광훈·전한길 ‘쌍전’ 있어”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코로나19 이후 증가했던 한국인 삶의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 모두 지난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하위권이었으며, 자살률도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보고서 ‘국민 삶의 질 2024’를 보면 삶의 만족도는 2023년 기준, 6.4점으로 2022년6.5점보다 감소했다.
삶의 만족도는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0~10점으로 측정한다. 2017년에 6.0이었던 삶의 만족도는 코로나19 이후인 2022년에 6.5점까지 올랐지만 2023년 4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삶의 만족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한국인 삶의 만족도는 2021~2023년 6.06점으로 OECD 평균6.69점보다 0.63점 낮다. 38개국 중 만족도 순위는 33위로 하위권이었다. 한국보다 만족도가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 콜롬비아, 그리스, 헝가리, 포르투갈이었다.
지난해 가족관계 만족도는 63.5%로, 직전 조사인 2022년64.5% 대비 소폭 감소했다. 가족관계 만족도는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2020년에는 58.8%, 2022년에는 64.5%로 증가했으나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가족관계 만족도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았다. 13~19세의 80.8%가 가족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반면, 50~59세는 58.1%, 60세 이상에서는 55.0%만 만족한다고 답했다.
자살률은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2023년 전체 자살자 수는 1만3978명으로 인구 10만명당 27.3명이었다. 전년25.2명과 비교하면 2.1명 늘었다. 2014년27.3명 이후 9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OECD에서 작성하는 국제비교 자료 기준으로 한국의 자살률은 2021년 10만명당 24.3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리투아니아18.5명, 일본15.6명 등 자살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나라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2000년 이후 OECD 국가의 자살률은 대부분 하락 추세다. 2000년 자살률이 높았던 라트비아, 헝가리, 에스토니아, 핀란드 등의 국가는 이후 지속해서 하락해 현재 15명 미만을 기록하고 있다.
기대수명은 2023년 기준, 83.5세로 전년 대비 0.8년 증가했다. 2000년 이후 매년 0.2~0.6세 정도의 증가 폭을 보였던 기대수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주춤했지만, 최근 들어 다시 증가추세에 있다. 다만 건강의 질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건강수명’은 2021년 72.5세로 2020년과 같았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23년 기준 4235만원으로 2022년4147만원보다 2.1% 늘었다. 반면 소비자물가지수를 고려한 월평균 임금은 감소했다. 2023년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실질금액은 355만4000원으로, 전년 대비 3만8000원 줄었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이혼하자” 했다고…양주병 휘둘러 ‘부동산 1타 강사’ 남편 숨지게한 50대
· 대형마트 도넘은 악덕상술…“쓰레기만 골라 온라인 배송하나”
· “학원 준비물 챙긴다며 갔는데…” 예비 중학생, 아파트서 추락 사망
· “영차영차” 턱걸이 6회 성공한 김문수···고령 리스크 일자 건강 부각?
· [단독]“우린 역사의 흐름 속에” “대통령 뭘 노린거야” 계엄 때 군 간부들 자조·하소연 ‘고스란히’
· 국민의힘에도 비명태균계?···한동훈·유승민·안철수 연대론 대두
· “의장·교섭대표 연설 1면 싣지 않은 언론사 홍보비 제한해야”
· 경찰, ‘캡틴아메리카남’ 구속 수사 중…“육군 병장 출신, 미국 국적 아냐”
· [단독]헌법재판소 앞 난동부린 40대 윤석열 지지자 현행범 체포
· 친한계 신지호 “권영세·권성동 ‘쌍권’ 위에 전광훈·전한길 ‘쌍전’ 있어”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의사 권고대로 치료받았는데 실손보험금 왜 안줘"…보험사 계약불... 25.02.24
- 다음글손맛으로 독주하는 메이커스 마크…더현대 팝업 [가봤더니] 25.02.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