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문턱 높이자 사내대출로 몰렸다…역대 최대 수준
페이지 정보

본문
━
규제 벗어난 ‘그림자 부채’
국내 정보기술IT 대기업에 근무하는 조모33씨는 지난해 9월 회사로부터 주택 자금 1억원을 대출받았다. 조씨는 “신혼집을 구하는 과정에서 당초 예상보다 대출 금리가 올라가고 한도까지 줄었다”며 “금융권 대출로만은 부족해 결국 회사 대출로 메웠다”고 말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지난해는 생활비 목적의 사내대출이 줄면서 전년1조3922억원보다 직접 사내대출이 소폭 감소하긴 했다. 그러나 주택 구매자금 같은 ‘주거비 목적’의 사내대출은 9980억원으로 전년9827억원보다 늘었다. 주택 매매나 전세자금을 충당하기 위한 대출이다.

김영옥 기자
금융회사와 연계해 직원에게 대출하는 것까지 포함하면 규모는 더 커진다. 이를 포함한 사내대출 규모는 지난해 7조1313억원으로, 전년도6조9332억원보다 2.9% 늘었다. 금융회사 연계 대출은 기업과 금융회사가 별도의 제휴를 맺고 임직원에게 제공한다. 규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하고, 한도와 금리 등에서 혜택이 크다.
분기별로 보면 금융회사 연계 대출을 포함한 전체 사내대출은 지난해 1~3분기 감소하다가 4분기 1조8982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2.2% 급증했다. 지난해 4분기는 은행권이 가계대출을 줄이기 위해 대출 금리를 높이고, 대출 한도를 축소한 때다. 지난해 8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역대 최대로 증가하면서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한 이후다. 은행 창구에서 한도가 제한되자 회사를 창구로 대출 규제를 우회한 것으로 해석된다.

정근영 디자이너
주로 재정 여력이 있는 대기업에서 사내대출 제도를 운영한다. 그러다 보니 지난해처럼 대출 문턱이 높아졌을 땐 일부 직장인만 대출을 받을 수 있어 형평성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회사 입장에선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복지 제도로 사내대출을 운영하는 만큼 예외를 인정하는 게 맞다는 주장도 나온다.
안 의원은 “사내대출은 금융권 대출과 사실상 동일하지만, 금융당국의 관리에서 제외된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실제 부채 규모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관리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애 180㎝ 키운다? 그 집착에 韓서 폭주한 병
▶ 12살 소녀가 기생 됐다…전설의 미녀 정체
▶ 만삭 김민희 콕 찍어 말했다…홍상수 깜짝 발언
▶ 유부녀 사촌과 사랑의 도피…가족에 닥친 비극
▶ 쾅 순간 아들과 9층 뛰었다…우크라 엄마 생존 전쟁
▶ 중학생과 성관계 한 군인…모텔서 잡힌 충격 이유
▶ 여성 10명 성폭행…김해 뒤집은 공포의 목사 결국
▶ "가슴 찢어진다"…집 쳐들어온 학폭 그놈들 소름 행동
▶ "母 난도질"…식당 살해용의 50대女, 그 뒤엔 치정?
▶ "아내 잃은 슬픔에 고통 극심"…구준엽 깜짝 근황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진호 jeong.jinho@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엔비디아, TSMC 첨단 패키징 용량 70% 확보…더 벌어진 삼성·TSMC ... 25.02.24
- 다음글[단독] 4대 은행 중 하난데…폭행·금품 요구 추문 25.02.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