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이상 준강남이라 부르지 마오"…강남 뛸 때 이 동네 집값 날았다
페이지 정보

본문
1년간 과천 아파트 가격 변동률 12.7%
같은 기간 강남은 10.66% 올라
같은 기간 강남은 10.66% 올라

최근 1년 동안 준準강남으로 평가 받는 경기도 과천 집값 상승률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를 웃돈 것으로 나타나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2일 KB부동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과천시의 1년간 가격변동률은 12.7%로 수도권에서 가장 높았다. 10억원짜리 아파트가 1년 뒤 11억2700만원이 된 셈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이 상승률이 같은 기간 서울 강남구 상승률7.9%을 아득히 넘어섰다는 점이다. 일례로 국토교통부 아파트실거래가를 보면 과천 푸르지오 써밋 전용 59㎡는 지난 1월 15일 17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역대 최고다. 과천주공 5단지 전용 103㎡도 같은달 13일 최고가인 23억5000만원에 손바뀜했다. 이 단지는 재건축 추진 중으로 현재 산업시행인가 단계에 와있다.
과천에 이어 경기도에서는 하남과 성남이 각각 4.4%, 3.7% 상승했으며, 화성1.9%, 수원1.9%, 김포1.2%, 구리0.7%, 안양0.6%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경기 내에서도 외곽인 동두천-6.6%과 평택-5.4%, 안성-5.3%, 이천-4.5%, 광주-2.4%는 하락했다.
지난해 이천, 안성 등지에선 미분양이 늘면서 기존 아파트 매매가격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천은 지난해 8월부터 이달까지 7개월 연속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상태다.
서울은 3.2% 상승한 가운데 하위 5개의 자치구를 제외한 20개의 자치구가 상승했다.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강남구7.9%였고 송파구7.4%와 성동구7.3%, 서초구6.6%, 강동구6.5%, 마포구5.7%, 광진구5.3%, 용산구4.5%, 동작구4.2%, 서대문구4.2%, 양천구4% 순이었다.
금천구-2%가 가장 많이 하락했으며 도봉구-1.7%, 노원구-1.2%, 강북구-1.1%, 중랑구-1.1%순이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전세가율이 낮아 서울 외곽 지역에 적은 돈으로 갭투자를 할 여건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출퇴근이 편한 핵심지역과 강남에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몰리며 지역별 차별화가 뚜렷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박 위원은 이어 “집은 한 채만 사고, 나머지는 금융자산에 투자하는 트렌드도 지역 쏠림현상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버터계의 에르메스 전세계 최초로 한국에 빵집 낸다 25.02.22
- 다음글"백종원 믿었다가…" 더본코리아 주가 4개월만에 반토막 25.02.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