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70만대도 관세 못 피해…대미 수출 84% 한국GM은 생존...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신문]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다음달 3일부터 25% 관세를 물리기로 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에 초비상이 걸렸다.
27일한국시간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생산된 차는 412만 8242대로, 이 중 143만 2713대34.7%가 미국으로 수출됐다.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미국에서 판 차량은 170만여대인데 미국 신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등을 통해 현지 생산량을 100만대로 끌어올린다고 해도 약 70만대는 한국산이기에 관세 영향을 받는다. 타격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제너럴모터스GM의 한국 사업장인 한국GM은 그야말로 생존이 위태로울 수 있다. 한국GM의 지난해 판매량 중 83.8%41만 8782대가 대미 수출 물량인데 관세 부과로 미국 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면 아예 사업을 접지 않겠느냐는 시나리오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대차는 적극적인 현지 생산으로 대응하겠지만 한국GM은 대체 시장을 찾는 데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대해 한국GM 측은 “특별히 드릴 말씀이 없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트레일블레이저가 흥행하는 등 글로벌 GM 공급망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이 높기에 철수 가능성을 낮게 보는 목소리가 있다.
오는 5월 3일 이전에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매겨질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중소·중견기업이 많은 부품업계는 더 큰 위기감을 드러냈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는 총 691곳인데 95%659개사가 중소·중견기업이다. GM이 한국에서 철수한다면 1~3차 협력사 약 3000곳이 타격을 입는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관계자는 “직간접적 피해가 모두 예상돼 부품업체들의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다”며 “개별 기업 입장에선 정부의 수출 관련 대책을 살펴 대응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은서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김대호 “프리 후 출연료 150배…집 한채 더 사 두집살이”
☞ ‘장녀’ 남보라, 가족사 고백…동생 죽음 언급하며 ‘눈물’
☞ “나의 큰 행복, 고마워” 최여진, 새아빠 공개…애정 가득
☞ ‘원조 섹시스타’ 유혜리, 60대에도 ‘풍성’… 모발 관리법
☞ ‘새 출발’ 이시영, 한 달 만에 5kg 감량 “거의 ‘이것’만 먹었다”
☞ 불륜한 남편 용서했는데…“나 아빠한테 성추행당했어”
☞ 전 여친 일터 찾아가 살해 후 가방 들고 달아난 40대男
☞ ‘ㄴ, ㅇㄹ, 야’ 112로 온 의문의 문자…쓰러진 男 ‘깜짝’
☞ 하정우, 응급수술 후 3일간 굶다가… ‘이것’ 첫 끼로 먹었다
☞ “스토커에게 납치될 뻔”…아직도 공황장애 약 먹는 여배우
[ 관련기사 ]
☞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한국 직격탄
☞ 대미 車수출액 10조 증발… GDP·고용·소비까지 ‘도미노 타격’
☞ 美경제 ‘관세 부메랑’… 테슬라만 승자 되나
☞ 경제6단체 “상법개정안 거부권 건의”… 韓대행 “기업 보호할 것”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27일한국시간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생산된 차는 412만 8242대로, 이 중 143만 2713대34.7%가 미국으로 수출됐다.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미국에서 판 차량은 170만여대인데 미국 신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등을 통해 현지 생산량을 100만대로 끌어올린다고 해도 약 70만대는 한국산이기에 관세 영향을 받는다. 타격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제너럴모터스GM의 한국 사업장인 한국GM은 그야말로 생존이 위태로울 수 있다. 한국GM의 지난해 판매량 중 83.8%41만 8782대가 대미 수출 물량인데 관세 부과로 미국 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면 아예 사업을 접지 않겠느냐는 시나리오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대차는 적극적인 현지 생산으로 대응하겠지만 한국GM은 대체 시장을 찾는 데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대해 한국GM 측은 “특별히 드릴 말씀이 없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트레일블레이저가 흥행하는 등 글로벌 GM 공급망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이 높기에 철수 가능성을 낮게 보는 목소리가 있다.
오는 5월 3일 이전에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매겨질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중소·중견기업이 많은 부품업계는 더 큰 위기감을 드러냈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는 총 691곳인데 95%659개사가 중소·중견기업이다. GM이 한국에서 철수한다면 1~3차 협력사 약 3000곳이 타격을 입는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관계자는 “직간접적 피해가 모두 예상돼 부품업체들의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다”며 “개별 기업 입장에선 정부의 수출 관련 대책을 살펴 대응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은서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김대호 “프리 후 출연료 150배…집 한채 더 사 두집살이”
☞ ‘장녀’ 남보라, 가족사 고백…동생 죽음 언급하며 ‘눈물’
☞ “나의 큰 행복, 고마워” 최여진, 새아빠 공개…애정 가득
☞ ‘원조 섹시스타’ 유혜리, 60대에도 ‘풍성’… 모발 관리법
☞ ‘새 출발’ 이시영, 한 달 만에 5kg 감량 “거의 ‘이것’만 먹었다”
☞ 불륜한 남편 용서했는데…“나 아빠한테 성추행당했어”
☞ 전 여친 일터 찾아가 살해 후 가방 들고 달아난 40대男
☞ ‘ㄴ, ㅇㄹ, 야’ 112로 온 의문의 문자…쓰러진 男 ‘깜짝’
☞ 하정우, 응급수술 후 3일간 굶다가… ‘이것’ 첫 끼로 먹었다
☞ “스토커에게 납치될 뻔”…아직도 공황장애 약 먹는 여배우
[ 관련기사 ]
☞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한국 직격탄
☞ 대미 車수출액 10조 증발… GDP·고용·소비까지 ‘도미노 타격’
☞ 美경제 ‘관세 부메랑’… 테슬라만 승자 되나
☞ 경제6단체 “상법개정안 거부권 건의”… 韓대행 “기업 보호할 것”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관련링크
- 이전글4월 개인투자용 국채 1200억원 규모 발행…5년물 700억원 25.03.29
- 다음글다날, 동남아 진출 본격화…FAO파트너스와 글로벌 VC 협력 25.03.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