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센트 美 재무장관 "장기 국채 발행 확대는 시기상조"
페이지 정보

본문
"인플레이션·Fed QT 등 장애물
시장 상황 따라 결정할 것"
시장 상황 따라 결정할 것"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사진=로이터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정부 부채 발행에서 장기 국채의 비중을 확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미국 중앙은행Fed의 양적 긴축QT 프로그램 등 여러 장애물이 남아 있다는 이유에서다.
베센트 장관은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장기 국채 발행 확대까지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시장이 원하는 바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전히 바이든플레이션조 바이든 전 행정부로 인한 인플레이션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시장 참여자들이 우리의 정책을 인식하고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기 시작하면, 그때 가서 장기 국채 발행 확대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는 궁극적인 목표이지만 지금 신호를 보내지는 않겠다"고 덧붙였다.
베센트 장관은 취임 전 당시 재무장관이었던 재닛 옐런이 만기 1년 이하의 단기 국채T-bills 비중을 늘린 것을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그는 옐런 장관이 장기 국채 금리를 낮추고 대선 전 경제를 부양하려는 의도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대선 직후에는 그는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을 통해 "옐런 장관은 역사적 기준에 비해 더 비싼 단기 국채를 1조 달러 이상 발행해 국채 시장을 왜곡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전통적인 차입 방식으로 복귀하면 장기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는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며 "시장 혼란을 방지하면서도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베센트 장관은 이달 초 옐런 장관 체제에서 수립된 국채 발행 계획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에 대해 그는 "이전 행정부가 채권의 듀레이션만기 기간을 단축했지만, 우리는 이를 추가로 단축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베센트 장관 발언 이후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0.04%포인트 하락한 4.5%를 기록했다. 달러인덱스는 베센트 장관의 발언에 0.4% 하락해 106.8 수준까지 떨어졌다.
베센트 장관은 전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회동했으며, 현재의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근 시장에서 미국 정부가 보유한 금의 평가 가치를 조정해 국가 재정을 강화할 가능성이 제기된 것에 대해 베센트 장관은 "그럴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국부펀드 창설 논의에서 대차대조표를 현금화하겠다고 말했지만, 그 의미는 금 재평가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게 테이블 위에 있는지 묻는다면, 대답은 그럴 생각이 없었다는 것이다"라고 재차 확인했다.
현재 미국 정부가 보유한 금은 온스당 42.22달러로 평가되고 있지만, 이를 현재 시장 가격온스당 약 2000달러으로 재평가할 경우 약 7500억달러의 평가 차익이 발생할 수 있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포켓몬코리아, 메타몽 매력 알리는 메타몽 프로젝트 공개 25.02.20
- 다음글"트럼프 2기, 에너지 가격 인하에 초점…韓기업에 위기이자 기회" 25.02.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