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1천만원 추가비용 내라는 여행사…소비자 보호 규정 미흡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저렴한 가격에 일찍 여행 상품을 예약했는데, 비행기값이나 환율이 올라 추가비용을 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터무니없는 금액을 요구해도 소비자 보호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박지운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10월, 1인당 400만 원씩 3인 가족 유럽 여행상품을 예약한 이 모 씨.
며칠 뒤 가격이 다소 오른 걸 발견해 여행사에 문의했는데, 추가금은 인당 10~20만 원 정도라는 안내를 받고 취소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넉 달 만에 비행기값이 올랐다며 거의 1천만 원을 더 내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이 씨는 상식을 벗어난 금액에 항의했지만, 싫으면 취소하라며 진상 취급만 당했다고 말합니다.
<이 모 씨> "손실을 소비자인 저희한테 다 부담하라고 하는 게 가장 이해할 수 없었고요. 증액에 대해서 얘기할 때 너무 당당하게 요구를…"
취재가 시작되자 여행사는 처음 안내가 잘못 나간 점을 사과하며 손해를 보더라도 추가비용을 3분의 1로 줄여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애초에 상품 가격을 안일하게 정했다는 사실도 인정했습니다.
앞서 이 씨는 소비자원 상담도 해봤지만 "일단 내야 한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소비자상담센터> "인상됐다는 증거가 있으면 저희가 그거를 다 납부하는 게 맞는 건가요? 네, 규정상으로는 그렇게 돼 있어요."
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에 따르면 여행사와 소비자는 운송·숙박 요금은 5%이상, 환율은 2% 이상 변동된 경우 서로에게 증감된 금액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인상 근거만 있으면 이론적으로 1천만 원이든 2천만 원이든 요구할 수 있는 겁니다.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 "규정으로 강제하는 거는 한계가 있어요. 거래 조건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자율협약이나 그런 것들이 필요한…"
한국소비자원도 특가로 미끼 상품을 올려 놓고 추가비용을 청구하는 영업 행위가 존재한다고 보고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
[ 영상취재기자 구본은 ]
#패키지여행 #공정위 #소비자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지운zwoonie@yna.co.kr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이영애> 소비자상담센터> 이>
저렴한 가격에 일찍 여행 상품을 예약했는데, 비행기값이나 환율이 올라 추가비용을 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터무니없는 금액을 요구해도 소비자 보호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박지운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10월, 1인당 400만 원씩 3인 가족 유럽 여행상품을 예약한 이 모 씨.
며칠 뒤 가격이 다소 오른 걸 발견해 여행사에 문의했는데, 추가금은 인당 10~20만 원 정도라는 안내를 받고 취소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넉 달 만에 비행기값이 올랐다며 거의 1천만 원을 더 내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이 씨는 상식을 벗어난 금액에 항의했지만, 싫으면 취소하라며 진상 취급만 당했다고 말합니다.
<이 모 씨> "손실을 소비자인 저희한테 다 부담하라고 하는 게 가장 이해할 수 없었고요. 증액에 대해서 얘기할 때 너무 당당하게 요구를…"
취재가 시작되자 여행사는 처음 안내가 잘못 나간 점을 사과하며 손해를 보더라도 추가비용을 3분의 1로 줄여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애초에 상품 가격을 안일하게 정했다는 사실도 인정했습니다.
앞서 이 씨는 소비자원 상담도 해봤지만 "일단 내야 한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소비자상담센터> "인상됐다는 증거가 있으면 저희가 그거를 다 납부하는 게 맞는 건가요? 네, 규정상으로는 그렇게 돼 있어요."
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에 따르면 여행사와 소비자는 운송·숙박 요금은 5%이상, 환율은 2% 이상 변동된 경우 서로에게 증감된 금액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인상 근거만 있으면 이론적으로 1천만 원이든 2천만 원이든 요구할 수 있는 겁니다.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 "규정으로 강제하는 거는 한계가 있어요. 거래 조건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자율협약이나 그런 것들이 필요한…"
한국소비자원도 특가로 미끼 상품을 올려 놓고 추가비용을 청구하는 영업 행위가 존재한다고 보고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
[ 영상취재기자 구본은 ]
#패키지여행 #공정위 #소비자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지운zwoonie@yna.co.kr
-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영·프, 우크라에 3만명 파병 추진"…러시아 추가제재도 예고
- ☞ PC방 들어갔더니 불법도박장…41명 무더기 검거
- ☞ 도로에 홀로 떨어진 돼지…적재물 추락 사고 대처는?
- ☞ 영월 농민회 살인사건 20년 만에 유죄…"족적 증거 인정"
- ☞ 차준환, 4대륙 피겨선수권 남자싱글 쇼트 4위…점프 실수
- ☞ 추경·연금 등 과제 산적한데…여야정 첫 회동은 빈손
- ☞ 착륙 중 여객기 뒤집한 델타항공…승객당 보상액 얼마?
- ☞ 경남 하동 주택 화재로 번진 산불 3시간여 만에 완진
- ☞ 대구 수성못에 9억원 규모 스페인 건축가 설계한 공중화장실 들어서
- ☞ 尹측, 홍장원 메모 신빙성 공격…"보좌관이 한동훈 친구 아닌가"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이영애> 소비자상담센터> 이>
관련링크
- 이전글내 아이에게는 국산 대신 수입산?…韓 시장에서 밀리는 K-분유 25.02.21
- 다음글"한국 성장률, 1%로 추락"…최악의 전망 나왔다 25.02.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