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둔화 우려 뉴욕증시 동반 급락…다우 낙폭 올들어 최대
페이지 정보

본문
소비자 심리지수 64.7…2023년 11월 이후 최저치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지수가 21일현지시간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고착화에 대한 투자자 우려 속에 동반 하락했다.

월스트리트 표지판.연합뉴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8.63포인트-1.69% 내린 43,428.02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낙폭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amp;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04.39포인트-1.71% 내린 6,013.1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38.36포인트-2.20% 하락한 19,524.01에 장을 마감했다.
AP통신과 CNBC 등 미국 주요 언론매체는 이날 나온 일련의 비관적 지표가 경제 전망에 대한 새로운 공포감을 불러오면서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고 짚었다.
Samp;P 글로벌에 따르면 2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7로, 2023년 1월 이후 25개월 만에 처음으로 움츠러들었다. Samp;P 글로벌 마켓인텔리전스의 크리스 윌리엄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지출 삭감부터 관세 부과, 지정학적 상황에 이르기까지 미국 연방정부 정책 영향에 대해 광범위하게 걱정하고 있다"며 "정치 환경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 때문에 판매가 타격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시간대학에서 내놓은 2월 소비자심리지수도 전월 대비 10% 가까이 낮아진 64.7로 집계됐는데, 이는 2023년 11월 이후 최저치다.
이는 미국 소비자들이 잠재적 관세 영향에 따른 물가 상승에 대비하고 있다는 뜻인데, 12개월 후 물가는 현재의 4.3% 안팎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고 미시간대학 측은 해설했다. 이는 지난달 예상치 3.3%보다 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미국 최대 소매기업 월마트의 부진한 실적 전망에 따른 주가 하락세는 이날-2.5%도 이어졌다. 엔비디아-4.05%와 브로드컴-3.56% 역시 지수 급락에 영향을 미쳤다.
최영찬 기자 elach1@asiae.co.kr
[관련기사]
☞ "아이디어 낸 직원은 천재" 240만원 짜리 눈 치우는 관광상품 中서 인기
☞ 횡령한 111억으로 아파트 사고, 가족에게 매달 300만원 줬다
☞ "다이소 때문에 마트에 갔어요"…매출 껑충 일등공신 된 사연
☞ 350억 땅 분쟁에 입 연 이지아 "난 18살에 이미…"
☞ 개당 1억 이상 더 뛸 수도…로또급 확률에도 은퇴자 몰린 개인택시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내 집에서 맞는 편안한 노후, 시니어 하우스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국힘, 핵심 증언 덮으려 압박?…계엄과장 "임종득 측 따로 만나자 연락" 25.02.22
- 다음글무역장벽에 소비부진까지…한은, 기준금리 내릴까 25.02.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