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兆 배송 속도전…판 커진 퀵커머스 핵부상
페이지 정보

본문
10명 중 7명 "퀵커머스 이용 의향 있어"
빠른 배송·급할 때 유용 등 만족도 높아
이용료 비싸고 오프라인 방문 낫다는 의견도
"적정 가격대 형성이 성장 관건"
쿠팡 로켓배송이 e커머스를 비롯한 유통가의 물류 속도전에 불을 지핀 가운데, 배송 시간을 분分 단위로 압축해 서비스하는 퀵커머스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퀵커머스는 거주지나 근무지 인근에서 상품을 주문하면 1시간 안팎으로 배달해주는 즉시 배송 서비스다.

배달라이더. 배달의민족 제공
21일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19~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퀵커머스 서비스플랫폼 관련 Uamp;A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9.3%가 향후 퀵커머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또 45.8%는 최근 퀵커머스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고 답했다.
배송 서비스는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가격 다음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다. 실제 설문 결과 10명 중 4명 이상41.4%이 배송 속도가 빠른지를 고려한다고 답해 가격이 저렴한지를 따져본다50.3%는 응답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설문 응답자들은 퀵커머스의 장점으로 빠른 배송이 가능해 소비자 입장에서 편리하다77.2%는 점을 꼽았다. 또 급하게 물건이 필요한 상황에 유용하다77.0%는 응답이 근소한 격차로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당장 급하게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서비스를 이용한다76.7%는 응답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용 빈도는 월 2~3회30.5%가 주를 이뤘다.

퀵커머스를 주로 이용하는 플랫폼은 배달 애플리케이션59.7%, 대형마트52.1%, 편의점47.9% 순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 편의점 등의 자체 앱을 통해 퀵커머스 서비스를 이용한 이들이 주로 주문한 제품은 신선식품41.4%, 간편식37.9%, 가공식품33.5% 등으로 식품류 비중이 비교적 높았다.
퀵커머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향후 관련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들도 많았다. 설문 응답자 10명 중 7명 이상71.7%은 앞으로 배송 속도가 유통업계의 중요한 화두가 될 것 같다고 내다봤고, 빠른 배송 서비스가 장보기의 핵심이 될 것 같다는 비중도 69.2%에 달했다.
또 앞으로는 가장 빠른 배송을 해주는 유통채널 중심으로 이용을 자주 하게 될 것 같다58.3%는 응답이 과반을 넘겼다. 퀵커머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는 플랫폼으로는 대형마트67.5%와 새벽배송64.1%이 주를 이뤘다.

다만 퀵커머스 서비스로 판매하는 제품이 편리한 만큼 가격이 더 비쌀 것 같다67.8%는 부정적 인식도 높게 나타난 점은 주목할만하다. 퀵커머스 서비스를 이용하기보다는 미리미리 장을 봐 두는 게 좋을 것 같다53.7%라거나 가까운 마트에 방문하는 게 나을 것 같다47.1%는 응답도 절반 안팎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고연령층을 중심으로 오프라인 장보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타 연령층보다 높았다.
엠브레인 관계자는 "아직은 퀵커머스에 대한 가격 민감도가 높은 만큼, 향후 대중 소비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적정 수준으로 가격대를 형성하는 것이 퀵커머스 시장이 성장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한편 관련 업계가 추산하는 국내 퀵커머스 시장 규모는 2020년 3500억원에서 올해 5조원으로 14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배달 서비스 플랫폼 배달의민족의 모기업인 독일 딜리버리히어로는 전 세계 퀵커머스 시장 규모가 2030년 4480억 유로약 600조원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관련기사]
☞ "아이디어 낸 직원은 천재" 240만원 짜리 눈 치우는 관광상품 中서 인기
☞ 횡령한 111억으로 아파트 사고, 가족에게 매달 300만원 줬다
☞ "다이소 때문에 마트에 갔어요"…매출 껑충 일등공신 된 사연
☞ 350억 땅 분쟁에 입 연 이지아 "난 18살에 이미…"
☞ 개당 1억 이상 더 뛸 수도…로또급 확률에도 은퇴자 몰린 개인택시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내 집에서 맞는 편안한 노후, 시니어 하우스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검찰, MBK SS 직원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혐의 수사 25.02.21
- 다음글"우리 아이, 태어나자마자 효도하네"…출산하면 이자 더 주는 금융상품 있... 25.02.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