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후 가장 큰 규모의 숏 스퀴즈…공짜돈 노린 투기세력 때렸다
페이지 정보
본문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마이크 타이슨의 표현을 빌자면, 모두가 계획이 있었다. 엔화가 그들의 입에 한 방 먹이기 전까지는 말이다.” 캐나다 외환결제업체 코페이의 칼 샤모타 시장전략본부장엔화를 거의 공짜로 빌려 고위험·고수익 자산에 투자하는 엔 캐리 트레이드가 지난 2주 간 주식·채권·외환 등 자산시장의 급등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달 말 일본은행의 ‘깜짝 금리인상’에서 시작된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움직임이 이달 5일 전 세계 시장에 블랙 먼데이를 불러왔다는 평가가 대다수다. 시장이 조정을 거쳐 반등 움직임을 이어가면서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완전히 끝났는지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엔 캐리 트레이드에 대한 최근 시장 분석을 5가지 질문 형태로 정리했다.
청산규모 얼마나 컸나
엔 캐리 트레이드 규모를 정확하게 추정하기는 힘들다. ‘엔화를 빌려서’ 세계 각국의 모든 형태의 자산에 투자한다는 개념은 상당히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고 있고 투자양상이 다양해 집계하기 어렵다.
하지만 방향을 추정해 볼 수는 있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미국 선물 시장에서 각 통화에 대한 파생계약 중 투기적 포지션수출입 대금 결제 등 상업적 목적 제외의 규모를 매주 집계한다. CFTC에 따르면 엔화에 대한 투기적 숏 포지션 규모는 지난 7월8일 18만4200계약으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7월12일과 19일에도 이 규모는 18만2000계약 수준이었다. 그러나 7월31일 일본 중앙은행일본은행이 기준금리를 0~0.1%에서 0.25%로 기습 인상하면서 숏 포지션 규모는 8월2일 7만3500계약으로 순식간에 쪼그라들었다. 이어 지난 9일에는 1만1400계약으로 94% 가량 급감했다. 샤모타 본부장은 로이터통신에 “금융위기 후 17년 만에 최대규모의 엔화 숏 스퀴즈였다”고 평가했다.
왜 청산됐나
일본은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일부 시기를 제외하면 거의 제로금리 수준의 낮은 이자율을 유지해 왔다. 엔 캐리 트레이드가 투자전략의 일환으로 자리잡게 된 배경이다.
이런 트레이드가 청산되는 조건은 첫째, 엔화의 절상 가능성이 높아진 시점이어야 하고 둘째, 시장이 변동성을 회피하는 시기안전자산 선호여야 한다. 돈을 빌려서 투자하는 것이 기본적인 전략이기 때문에 빌린 돈의 가치가 낮은 쪽으로 유지엔저될 것이라는 자신감이 있어야 캐리 트레이드가 가능하다. 지금은 시장이 그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엔화가치는 오를 가능성이 높아졌고 시장의 변동성도 커지고 있다.
日, 일부러 때렸나
미국이 금리인하를 결정할 예정인 상황에서 깜짝 인상을 결정한 일본이 캐리 트레이드의 대규모 청산을 ‘노렸다’는 해석도 적지 않다. 크리스 웨스턴 페퍼스톤그룹 리서치부문장은 “일본은행은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 알고 있었을 것”이라며 “캐리 트레이드를 꺼뜨리기 위해 이렇게 했다고 봐야 한다”고 블룸버그에 주장했다.
캐리 트레이드 방식으로 투자하는 이들은 엔화가치가 높아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달러당 160엔대 엔저를 극복하기 위해 외환시장 개입을 불사해 왔던 일본은행으로서는 투기세력에 ‘한방’을 먹이고 싶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결과적으로 지난 5일 닛케이 지수가 12% 넘게 급락한 탓에 일본은행은 “시장이 안정화될 때까지 추가 금리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반성문을 써야 했다. 그러나 엔저를 유도하는 투기세력에는 확실한 경종을 울린 셈이 됐다. 급격한 청산 과정에서 큰 손실을 입은 이들도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모넥스그룹의 제스퍼 콜 이사는 CNBC에 “폭력적일 정도로 대규모로 진행된 엔 캐리 트레이드 감소 등 조정은 사실 상당히 건강한 일이었다”며 향후 일본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제 다 끝났나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종료 시점에 대해선 아직 의견이 엇갈리지만, 이미 상당부분 진행됐다는 해석이 좀 더 우세하다.
JP모간은 엔 캐리 트레이드가 지난 주 4분의 3 가량 청산됐다고 추정했다. CFTC가 집계한 엔화 투기적 숏 포지션의 급감도 청산종료가 가까웠다는 해석을 뒷받침한다.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 속도가 빨라지는 것도 이런 해석에 힘을 보탠다. 지금까지 엔 캐리 트레이드의 대규모 청산은 총 5차례 있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1998년 10월외환위기, 2002년 2월닷컴버블 붕괴, 2008년 8월금융위기, 2016년 1월중국증시 및 유가폭락, 2020년 6월팬데믹 확산이다. 이 과정에서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 시작시기와 증시 저점 시기 간의 간격은 갈수록 짧아지는 중이다. 2008년에는 91일이 걸렸는데, 2020년에는 열흘밖에 걸리지 않았다. 반론도 있다. 리처드 켈리 TD증권 글로벌 전략 부문장은 “엔 캐리 트레이드의 규모를 누구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엔화가치가 아직도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캐리 트레이드 청산 종료를 선언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CNBC에 말했다.
다시 늘어날까
당분간은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주식시장이 안정을 되찾더라도 엔화의 환율 변동 리스크가 커서 캐리 트레이드의 유효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조너스 골터만 캐피털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인한 즉각적인 영향을 반영한 후에도 엔화는 강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엔 캐리 트레이드 투자자들에게 가장 인기를 누렸던 투자처인 멕시코 페소화 가치는 한달 전에 비해 6% 가량 내려앉았다. 향후 변동성이 잦아들고 안정적으로 고위험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시장의 자신감이 다시 돌아온다면 캐리 트레이드는 언제든지 늘어날 수 있다. ‘값싼 돈’의 출처가 꼭 엔화일 필요는 없다. 아이슬란드의 2007~2008년 금융위기에는 엔 캐리 뿐만 아니라 스위스프랑 캐리 트레이드도 기여했다. 워싱턴=이상은/도쿄=김일규 특파원 selee@hankyung.com |
관련링크
- 이전글소형 주택 세제 혜택에도 저조한 오피스텔 청약…"똘똘한 한채에 아파트... 24.08.15
- 다음글효성家 차남 조현문 "공익재단 설립, 조현준 회장 동의" 24.08.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