될놈될 분양시장…분상제 쏠림 현상 심화
페이지 정보
본문
- 전국 아파트 매매 하락폭 커진 가운데
- 서울 강남3구·일부 단지들은 상승 유지
- 설 연휴 이후 무순위 줍줍도 사라지며
- 청약시장은 ‘분상제’ 위주 쏠림현상 심화 예상
- 서울 강남3구·일부 단지들은 상승 유지
- 설 연휴 이후 무순위 줍줍도 사라지며
- 청약시장은 ‘분상제’ 위주 쏠림현상 심화 예상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설 명절 이후에도 부동산 시장 한파가 지속 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옥석 가리기’로 양극화가 심화 될 전망이다.
불안정한 탄핵 정국에 대출 규제까지 겹친 가운데 설 연휴 이후엔 기존 부동산 매수 시장에서뿐 아니라 청약시장에서도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 등 일부 지역 쏠림 현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 부는 찬바람 피해 간 ‘강남’…양극화 심화
24일 한국부동산원이 최근 발표한 1월 셋째주 주간 아파트 거래동향을 분석해보면 전국 집값은 전주보다 0.05% 하락했으며 수도권은 0.03% 내려 하락 폭이 유지됐고, 서울은 5주 연속 보합을 유지 중이다.
그나마 서울이 하락세를 면하고 있는 이유는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핵심 입지 집값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이 기간 서울 송파구0.09%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서울에서 가장 높게 기록된 가운데 서초구0.03%, 강남구0.01% 등도 전주 대비 상승 폭을 키우고 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관망세를 유지하며 보합을 유지하고 있는 서울의 경우 강남, 용산 등 일부 재건축 추진단지나 일부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다만 이 밖의 단지에선 매수 심리가 위축되는 모습이다”고 전했다.
실제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대표적 재건축 추진 단지인 ‘주공아파트 5단지’는 올해 초 전용면적 82㎡ 기준 34억 75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또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있는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117㎡도 올해 초 55억원에 손바뀜했다. 이는 지난해 8월 거래된 53억 7000만원보다 1억 3000만원 더 오른 가격이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설 연휴 이후 부동산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인해 거래량은 일부 선호 단지 위주로 점진적으로 회복될 수 있지만 하반기까지 본격적인 가격 상승 전환은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며 “이런 가운데 양극화는 더욱 심화하며, 서울 강남 등 핵심 지역이나 GTX 역세권과 신축 아파트는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지만, 노후 아파트와 비인기 지역은 침체가 지속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새로운 로또청약 된 ‘분상제 대단지’
청약 시장에서도 ‘될곳될될 곳만 되는’ 쏠림 현상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청약시장은 일반 분양 물량 감소와 분양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무순위 줍줍도 이젠 무주택자만 적용되도록 청약제도가 바뀌면서 ‘분양가 상한제’분상제에 더 많은 청약 수요자들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분상제 적용 지역은 서울에서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수도권에서는 경기·인천 공공택지로 이 지역들은 당첨만 된다면 적어도 수억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까지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예상된 전국 분양 물량은 8만 5840가구다. 지난해 수도권에서는 12만 6808가구가 분양된 것이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물량이다.
설 연휴 직후 시작되는 강남 분상제 단지로는 서초구 방배동의 ‘래미안 원페를라’가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단지는 분상제가 적용되지만 실거주 의무가 없다. 인근 아파트 가격과 비교했을 때 전용 84㎡를 기준으로 약 5억∼7억 원가량 시세 차익이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
송 대표는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은 초강세를 유지하며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큰 반면 지방 및 수도권 외곽 지역은 청약 미달과 미분양 증가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실제 올해 들어 청약을 진행한 대구 동구의 한 아파트 단지는 50여 가구 특별공급 모집에 아무도 신청하지 않은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 관련기사 ◀
☞ 윤 구속 연장 불허…檢, 석방 전 구속기소 전망
☞ 한전·한수원, 조단위 뛴 UAE원전 비용에 집안싸움
☞ 음주, 뺑소니 이어...김흥국, 무면허 운전으로 벌금 100만원
☞ "기죽지 마"...한동훈, 친한계 이탈 진종오 만나 한 말
☞ 무항생제라더니…경고받은 멕시카나, 무슨 일?
박지애 pjaa@
|
◇전국에 부는 찬바람 피해 간 ‘강남’…양극화 심화
24일 한국부동산원이 최근 발표한 1월 셋째주 주간 아파트 거래동향을 분석해보면 전국 집값은 전주보다 0.05% 하락했으며 수도권은 0.03% 내려 하락 폭이 유지됐고, 서울은 5주 연속 보합을 유지 중이다.
그나마 서울이 하락세를 면하고 있는 이유는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핵심 입지 집값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이 기간 서울 송파구0.09%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서울에서 가장 높게 기록된 가운데 서초구0.03%, 강남구0.01% 등도 전주 대비 상승 폭을 키우고 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관망세를 유지하며 보합을 유지하고 있는 서울의 경우 강남, 용산 등 일부 재건축 추진단지나 일부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다만 이 밖의 단지에선 매수 심리가 위축되는 모습이다”고 전했다.
실제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대표적 재건축 추진 단지인 ‘주공아파트 5단지’는 올해 초 전용면적 82㎡ 기준 34억 75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또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있는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117㎡도 올해 초 55억원에 손바뀜했다. 이는 지난해 8월 거래된 53억 7000만원보다 1억 3000만원 더 오른 가격이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설 연휴 이후 부동산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인해 거래량은 일부 선호 단지 위주로 점진적으로 회복될 수 있지만 하반기까지 본격적인 가격 상승 전환은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며 “이런 가운데 양극화는 더욱 심화하며, 서울 강남 등 핵심 지역이나 GTX 역세권과 신축 아파트는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지만, 노후 아파트와 비인기 지역은 침체가 지속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청약 시장에서도 ‘될곳될될 곳만 되는’ 쏠림 현상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청약시장은 일반 분양 물량 감소와 분양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무순위 줍줍도 이젠 무주택자만 적용되도록 청약제도가 바뀌면서 ‘분양가 상한제’분상제에 더 많은 청약 수요자들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분상제 적용 지역은 서울에서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수도권에서는 경기·인천 공공택지로 이 지역들은 당첨만 된다면 적어도 수억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까지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예상된 전국 분양 물량은 8만 5840가구다. 지난해 수도권에서는 12만 6808가구가 분양된 것이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물량이다.
설 연휴 직후 시작되는 강남 분상제 단지로는 서초구 방배동의 ‘래미안 원페를라’가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단지는 분상제가 적용되지만 실거주 의무가 없다. 인근 아파트 가격과 비교했을 때 전용 84㎡를 기준으로 약 5억∼7억 원가량 시세 차익이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
송 대표는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은 초강세를 유지하며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큰 반면 지방 및 수도권 외곽 지역은 청약 미달과 미분양 증가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실제 올해 들어 청약을 진행한 대구 동구의 한 아파트 단지는 50여 가구 특별공급 모집에 아무도 신청하지 않은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 관련기사 ◀
☞ 윤 구속 연장 불허…檢, 석방 전 구속기소 전망
☞ 한전·한수원, 조단위 뛴 UAE원전 비용에 집안싸움
☞ 음주, 뺑소니 이어...김흥국, 무면허 운전으로 벌금 100만원
☞ "기죽지 마"...한동훈, 친한계 이탈 진종오 만나 한 말
☞ 무항생제라더니…경고받은 멕시카나, 무슨 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박지애 pjaa@
관련링크
- 이전글"출발 3시간 전 도착해도 빠듯"…설 황금연휴 때 134만명 몰린다는 이곳 25.01.25
- 다음글[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노보노디스크, 주사용 비만약 초기 임상 결과에 8%... 25.01.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