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기] 사진 한 장 넣었을 뿐인데…지브리 주인공이 된 나
페이지 정보

본문
![]() |
증명사진을 챗GPT에 업로드한 뒤, “지브리 스타일로, 카페에서 노트북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바꿔줘”라고 명령한 결과물. 인물뿐 아니라 배경의 따뜻한 조명과 카페의 목가적인 인테리어까지 지브리 특유의 감성으로 재해석됐다. |
“짱구 스타일로 그려줘”, “지브리 풍으로 바꿔줘”
요즘 챗GPT를 써본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이 마법 같은 문장을 쳐봤을 것이다. 내 얼굴을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처럼 바꿔주는 기능. 단순한 재미를 넘어선 ‘SNS 도배 현상’이 현실이 되고 있다.
2일 기자는 직접 이 기능을 써봤다. 처음엔 일반적인 증명사진 스타일의 셀카 한 장을 챗GPT에 업로드하고, 이렇게 명령했다.
“이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노트북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바꿔줘”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사진 속 기자는 테이블에 앉아 노트북을 타이핑하고 있었고, 배경은 따뜻한 조명이 드는 지브리풍 카페처럼 재구성되어 있었다. 얼굴뿐 아니라 옷의 주름, 조명 각도, 손 위치까지 그럴듯하게 묘사됐다.
단순히 ‘얼굴을 애니 스타일로 바꾸는’ 것을 넘어, 챗GPT는 명령어 속 ‘노트북을 하고 있는 상황’까지 반영해 그림 전체를 재구성한 것이다. 다시 말해, 사진을 기반으로 한 시나리오 연출까지 가능하다는 뜻이다.
결과물이 SNS에 올라가자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동료 기자들, 친구들이 “내 것도 해줘!”라며 몰려들었다. 처음엔 한두 명이던 요청은 하루 만에 열 명이 넘었다.
지브리 스타일, 짱구 풍, 디즈니 공주 버전, 심슨가족 느낌까지 각자 원하는 스타일도 제각각이었다. 누군가는 커플 사진을 애니메이션으로 바꿔 커플 프사로 쓰겠다고 했고, 또 다른 이는 “이거 우리 결혼식 청첩장에 쓰면 안 되냐”고 물었다.
![]() |
챗GPT에게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주고 변화된 모습을 보고 놀라는 과정을 4컷 만화로 구성해줘”라고 명령한 뒤 나온 결과물. 챗GPT는 사용자의 요청을 이해하고, 만화 속 등장인물의 표정 변화와 배경 디테일까지 반영해낸다. 다만 아직 한글 변환에는 무리가 있다. |
특히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자녀 사진을 애니풍으로 바꿔 액자로 걸어두겠다는 이들도 있었고, 어떤 지인은 아이 생일 초대장을 이 버전으로 제작해 인쇄까지 맡겼다고 한다.
놀라운 점은 ‘스타일’의 인식 수준이다. 단지 피사체만 바꾸는 게 아니라, 사진 전체의 맥락을 읽고 스타일화한다.
김덕진 IT커뮤니케이션연구소 소장은 “이제 AI는 단순히 따라 그리는 단계를 넘어 ‘추론’까지 하기 시작했다”며 “사용자가 ‘지브리 풍으로 그려줘’라고 하면, AI가 그 스타일이 무엇인지 스스로 해석하고 배경과 감정선까지 구성하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엄마 미모 몰빵…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예비신랑과 2번 만에 성병…“지금도 손이 떨려”
관련링크
- 이전글이복현 금감원장 사의 표명…"금융위원장께 입장 밝혔다" 25.04.02
- 다음글[단독] "도로에 갇힐 일 없겠네"…세갈래 길로 지하화나서는 경부고속도로 25.04.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