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옆의 반려견이 내성균 감염 매개체?"…역학 조사 활발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내 옆의 반려견이 내성균 감염 매개체?"…역학 조사 활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6회 작성일 25-02-22 01:47

본문

[위클리 리포트] ‘2050년 사망원인 1위’ 항생제 내성균

‘슈퍼 박테리아’ 감염 경로를 찾아라… 사람-동물-환경 간 전파 연구

“확산 차단해 예방 대책 마련”… 정부, 전방위적 항생제 관리 나서


토요판22일자/사진사설/항생제 내성균 찾기 위해 검사 받는 반려견들



“장군이, 만두, 도담이 차례로 배변봉투 들고 서주세요. 배변에서 균 검사하고 코랑 입도 추가로 확인하겠습니다.”

최근 방문한 부산 사상구 신라대 캠퍼스에서 만난 세 마리의 반려견은 한쪽에 마련된 놀이터에서 뛰놀고 있었다. 하지만 홍준성 신라대 반려동물학과 교수가 강아지의 분변을 채취해야 한다고 말하자 한 마리씩 차례로 지정된 공간에서 대변을 보고 코와 입속 균을 채취하는 작업에 참여했다. 익숙한 듯 코를 내어주는 장군이, 만두, 도담이는 이미 여러 차례 홍 교수와 국립보건연구원의 연구에 참여해 온 ‘프로’ 연구견이다.

이처럼 반려견들의 변과 타액을 채취해 분석하는 것은 최근 수년간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균의 감염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작업이다. 항생제 내성균은 사람도 감염되지만 강아지, 고양이, 소, 돼지 등 다양한 동물도 감염된다. 특히 축산업계에서 한때 항생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며 내성균이 다량 발견되기도 했다. 현재 동물과 사람, 그리고 환경 간 어떤 경로로 어떻게 내성균이 퍼져 나가는지를 알아보고 있는 단계다.

재-토요판22일자/사진/항생제 내성균 찾기 위해 검사 받는 반려견들


홍 교수팀이 맡은 연구는 사람과 가장 가까이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에 대한 연구다. 항생제 내성균이 퍼져 나가는 데 있어 반려견이 중간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설 아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반려견과 보호자의 장내 세균을 조사하고 연관성을 찾는 것이다. 윤은정 국립보건연구원 약제내성연구과 연구관은 “항생제 내성균의 이동 경로를 파악해야 어느 고리를 끊어야 할지 알 수 있다”며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기에 앞서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이라고 했다.

이렇게 채취한 반려견의 변과 타액은 실험실로 옮겨진다. 실험실 안에서는 변 속에 살고 있는 다양한 균을 분리해내고, 그중 동물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주요 항생제 내성균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샬레 위에 균을 배양한 뒤 항생제를 뿌려주면 그중 살아남는 균들이 나타난다. 바로 항생제 내성균이다. 이 균이 함께 거주하는 보호자에게서도 발견되는지를 확인하는 게 다음 순서다. 홍 교수는 “세계적으로 사람, 동물, 환경 등 세 요소를 중심으로 역학 관계를 조사하는 연구를 많이 진행하고 있다”며 “아직 연구 초기 단계라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미지수”라고 했다.

현재 정부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응하기 위해 질병관리청,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해양수산부, 환경부, 농촌진흥청 등 범부처 차원에서 ‘원헬스 항생제 내성균 대응 고도화 및 제어기술 연구’ 사업을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한다. △현장 중심 원헬스 항생제 내성 통합조사 연구 △항생제 사용량 감시 및 적정 사용 체계 개발 △현장 신속진단법 개발 및 확산 방지 연구 △항생제를 보완하는 새로운 내성균 치료제, 치료 전략 개발 △다분야 협력 이행을 위한 인프라 고도화 등 크게 다섯 분야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다. 윤 연구관은 “항생제 내성은 항생제를 사용하는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고, 어디로든 퍼져 나갈 수 있다”며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범부처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부산=최지원 기자 jwchoi@dong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893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9,29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