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건설 살린다…4.3조 투입, 부산·대전·안산 철도 지하화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지방건설 살린다…4.3조 투입, 부산·대전·안산 철도 지하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6회 작성일 25-02-20 00:05

본문



정부가 부산, 대전, 안산에서 총 4조3000억원 규모의 철도 지하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사진은 부산의 대상 구간인 부산진역아래~부산역 선로 모습. 송봉근 기자

정부가 부산, 대전, 안산에서 총 4조3000억원 규모의 철도 지하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사진은 부산의 대상 구간인 부산진역아래~부산역 선로 모습. 송봉근 기자

부산과 대전, 경기 안산에서 총 4조3000억원 규모의 철도 지하화 사업이 추진된다. 조단위 자금을 투입하는 사회기반시설SOC 사업으로 건설경기를 살려보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19일 정부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민생경제점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부산의 부산진역~부산역 구간 2.8㎞는 인공지반데크으로 덮어 상부를 개발한다. 부산진역 컨테이너 야적장CY과 철도부지를 이전한 뒤 고밀 개발하는 면적은 축구장 52개 크기인 약 37만㎡다. 대전에서는 대규모 철도 정비부지조차장를 인근 신탄진으로 이전시킨 뒤 경부선 선로 2.4㎞ 구간을 데크로 덮어 개발한다. 38만㎡에는 업무·복합용지를 집중 배치한다. 안산에서는 안산선 초지역~중앙역 구간 철로 5.1㎞를 지하화해 주변 시유지와 함께 역세권 컴팩트시티를 조성한다.


국토부는 수도권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구간은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지하화 추진 방안을 발표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의 경우 서울역~용산역 구간 철도 지하화가 주목받았으나 이날 발표된 선도사업 지역에선 제외됐다.

이와함께 국토부는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고, 디딤돌 대출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등 추가 대책을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은 2만1480가구인데 이 가운데 80%가 지방에 몰려있다. LH가 이 가운데 악성 미분양 주택 3000가구를 직접 매입한다. 임대수요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든든전세’로 활용한다. 세입자가 90% 수준의 전세금을 내고 6년 이상 거주 후 분양 여부를 선택하는 공공임대주택 제도다.

지방 미분양 주택을 살 경우 디딤돌대출에 우대금리를 적용해 이자를 낮춰준다. 또 현재는 아파트에는 적용되지 않는 ‘매입형 등록임대’를 지방의 85㎡ 이하 미분양 아파트에 한해 허용하도록 민간임대주택법 개정을 추진한다. 시공사가 준공 기한을 못 지키면 시행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시공사건설사가 부담하는 ‘책임준공’ 제도도 개선한다. 시행사의 자금난이 건설업계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조치다.

그러나 정치권과 지자체 등에서 요구해온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완화 방안은 포함되지 않았다. 지방 건설 경기 상황을 보며 4~5월쯤 완화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기존에 발표한 사업을 서둘러 올해 SOC 예산 17조9000억원 중 70%12조5000억원를 상반기에 투입할 계획이다.

침체한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키기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지가 발표됐지만, 첫 삽을 뜨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이런 대형 개발사업은 계획을 짜는 데만 최소 3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미분양 대책도 수요 진작을 위한 영역은 아니기에 한계가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악성 미분양의 든든전세 활용이나 민간 매입형 임대사업 허용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면서도 “양도세·취득세 완화나 지방 생활 인프라 개선 등 기대 이상의 정책이 나와야 시장 반응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 기자 lee.hyun@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끝내 세상 못나온 우동…주방서 죽은 50대男 비밀
부사관이 女상관 끌고가 성폭행…해군 발칵, 뭔일
귀신같이 나타난다…요즘 당신 SNS에 뜬 짤 비밀
9세 딸 일기장 보자 부모 기겁…한국 떠난 관장 최후
지방흡입 중 숨진 홍콩 재벌 3세…강남 병원 발칵
달러 사던 30대男, 사표 후 극우 유튜버 된 사연
악역 아저씨도 김새론 추모…15년 전 사진 속엔
이하늬, 이번엔 65억 건물 매입 의혹…"절차 적법"
90대女 성추행한 70대 이장…홈캠에 다 찍혔다
"유도하듯 패대기"…경비원 숨지게 한 20대 결국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현 lee.hyun@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82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37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