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률 99% 자동문 검사 그만!"…고령 운전종사자 검사 강화
페이지 정보

본문
고령 운전자의 시청역 역주행…사망자 9명 발생
정부, 고령 운수종사자 자격 검사 기준 강화
100명 중 1∼2명만 탈락…유명무실 비판
정부, 고령 운수종사자 자격 검사 기준 강화
100명 중 1∼2명만 탈락…유명무실 비판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 고령 택시운전사와 화물차 기사 등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기존 자격검사 제도의 합격률이 99%에 가까워 유명무실한 자동문 검사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이에 정부가 사고 예방을 위해 고령 운수종사자 자격 검사 기준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오동건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7월 60대 후반 운전자가 9명의 사망자를 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운전자 차 모 씨가 40여 년간 경력의 버스 기사라는 사실이 밝혀지며 충격을 줬습니다.
시청역 사고로 촉발된 고령자 운전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65세 이상 고령 택시, 버스, 화물 기사의 평가를 강화합니다.
매년 100명 중 1~2명만 탈락하던 정기 자격유지 검사의 판정 기준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지금까지는 7개 항목 중 최저 등급인 5등급을 2개 이상 받으면 불합격이었지만,
앞으로는 사고 발생 관련성이 높은 시야각과 도로 찾기 등 4개 항목 중 4등급이 2개 이상만 나오면 부적합 판정을 받게 됩니다.
또 75세 이상은 병원에서 하는 의료적성검사로 자격유지검사를 대체할 수 없고
검사에 떨어진 뒤 반복 숙달로 통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재검사 제한 기간을 30일로 늘리고 4차부터는 아예 새로운 기준으로 검증하도록 했습니다.
건강 문제로 발생하는 사고 예방을 위해 추적검사도 의무화됩니다.
[김유인 / 국토부 교통물류실 교통서비스정책과 과장 : 고혈압, 당뇨는 운전 중 실신 유발 가능성이 있는 만큼 초기 고혈압, 당뇨 진단·우려군은 현재처럼 운전은 할 수 있으나 6개월마다 혈압 혈당 검사를 제출하도록 하여 추적 관리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개정안을 4월 1일까지 입법 예고하고 빠르면 하반기엔 시행되도록 남은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오동건입니다.
영상편집: 이은경
디자인: 전휘린
YTN 오동건 odk798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 고령 택시운전사와 화물차 기사 등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기존 자격검사 제도의 합격률이 99%에 가까워 유명무실한 자동문 검사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이에 정부가 사고 예방을 위해 고령 운수종사자 자격 검사 기준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오동건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7월 60대 후반 운전자가 9명의 사망자를 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운전자 차 모 씨가 40여 년간 경력의 버스 기사라는 사실이 밝혀지며 충격을 줬습니다.
시청역 사고로 촉발된 고령자 운전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65세 이상 고령 택시, 버스, 화물 기사의 평가를 강화합니다.
매년 100명 중 1~2명만 탈락하던 정기 자격유지 검사의 판정 기준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지금까지는 7개 항목 중 최저 등급인 5등급을 2개 이상 받으면 불합격이었지만,
앞으로는 사고 발생 관련성이 높은 시야각과 도로 찾기 등 4개 항목 중 4등급이 2개 이상만 나오면 부적합 판정을 받게 됩니다.
또 75세 이상은 병원에서 하는 의료적성검사로 자격유지검사를 대체할 수 없고
검사에 떨어진 뒤 반복 숙달로 통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재검사 제한 기간을 30일로 늘리고 4차부터는 아예 새로운 기준으로 검증하도록 했습니다.
건강 문제로 발생하는 사고 예방을 위해 추적검사도 의무화됩니다.
[김유인 / 국토부 교통물류실 교통서비스정책과 과장 : 고혈압, 당뇨는 운전 중 실신 유발 가능성이 있는 만큼 초기 고혈압, 당뇨 진단·우려군은 현재처럼 운전은 할 수 있으나 6개월마다 혈압 혈당 검사를 제출하도록 하여 추적 관리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개정안을 4월 1일까지 입법 예고하고 빠르면 하반기엔 시행되도록 남은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오동건입니다.
영상편집: 이은경
디자인: 전휘린
YTN 오동건 odk798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관련링크
- 이전글삼성, 국내외 2000여명 임원 소집…위기 극복 세미나 연다 25.02.19
- 다음글LH 미분양 직매입에 "업계 자금 숨통" "악성 재고 떠안기" 분분 25.0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