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가 불러운 中의 반등"…중국 ETF 수익률 신바람
페이지 정보

본문
"딥시크 등장으로 중국 AI 기술력 재평가"
중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이 고공행진을 펼치고 있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생성형 AI로 인해 중국 테크 기업들이 다시 부각되면서 중국 증시가 상승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전날까지 수익률 1위는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로 54.79%를 기록했다. 이 밖에도 KODEX 차이나H레버리지35.67%,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29.20% 등 수익률 상위 10개 중 5개가 모두 중국 관련 ETF였다.
이 같은 중국 관련 ETF의 상승은 중국 증시의 반등 때문이다. 실제로 홍콩 항셍지수는 이달 12% 넘게 올랐으며 홍콩 H지수도 13% 이상 뛰었다. 최근 중국은 AI 모델인 딥시크로 인해 알리바바, 텐센트 등 IT 기술주에 대한 기대감이 재부각되고 있다.
남용수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운용본부장은 "지난달 등장한 딥시크 이후 중국 AI 관련주들의 강세가 이어졌다"며 "미중 분쟁에 가려졌던 중국 AI, 반도체, 로봇 등 테크주로의 관심과 3월 양회를 전후로 재정부양 및 금융시장 안정화 조치 관련 정책 대응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이정환 미래에셋운용 ETF운용1본부장은 "딥시크의 등장으로 인한 중국 AI 기술력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면서 테크 기업 위주의 상승이 돋보였다"며 "중국 정부의 기술 기업 지원 강화 움직임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중 갈등이 예상보다 완화된 양상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줄어든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꼽힌다"고 덧붙였다.
증권가는 중국 증시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기술주의 경우 수급 측면에서 과도한 쏠림이 나타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상존하나 AI의 주도주의 지위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달 5일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전까지 특별한 이벤트가 없는데 경제지표 공백기 속 약 2주간 매크로 변수에서 자유롭다"고 덧붙였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관련기사]
☞ 횡령한 111억으로 아파트 사고, 가족에게 매달 300만원 줬다
☞ 개당 1억 이상 더 뛸 수도…로또급 확률에도 은퇴자 몰린 개인택시
☞ "230만원 내고 삿포로 가서 눈 치우자"…난리난 관광상품
☞ 47억에 팔렸다…버려진 아파트서 우연히 발견한 이 작품 알고 보니
☞ "일본 벚꽃 여행 예약했는데"…올해만 31번 분화한 화산에 걱정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내 집에서 맞는 편안한 노후, 시니어 하우스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2025 아시아펀드대상]서유석 회장 "장기투자 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 25.02.21
- 다음글"초고령 사회 속 투자기회는"…NH투자증권, THE100리포트 97호 발간 25.02.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