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 삼표자리에 77층 마천루, 내년 착공
페이지 정보

본문

45년간 레미콘 공장이 들어서 있던 서울 성동구 성수동 삼표레미콘 공장 용지가 77층 초고층 랜드마크로 개발된다. 삼표 용지를 중심으로 성수동 일대를 서울 시내 업무·관광·문화와 창업 생태계를 견인하는 글로벌 미래산업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게 서울시의 구상이다.
19일 서울시는 삼표레미콘 용지 개발사업 관련 사전협상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서울숲과 한강에 둘러싸여 있는 이곳은 1977년부터 레미콘공장이 운영됐다가 철거가 완료된 2022년 8월부터 성동구가 문화공연장 등으로 임시 활용 중이다.
시는 2023년 12월 착수한 삼표레미콘 용지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절차를 1년여 만에 모두 마치고 민간사업자인 SP성수PFV에스피성수피에프브이 측에 협상 완료를 공식 통보했다.
사전협상에 따라 삼표레미콘 용지는 연면적 44만7913㎡ 규모의 업무시설, 숙박시설, 문화·집회시설, 판매시설 등을 포함한 지상 77층 규모의 복합시설로 재탄생한다. 이를 위해 제1종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했다.
설계는 세계 최고층 건물인 아랍에미리트의 부르즈칼리파 등을 설계한 미국 SOM이 맡는다. SOM은 미국 시카고에 본사를 둔 건축설계·엔지니어링 회사다. 사전협상은 향후 지구단위계획 결정 등 법정 절차를 거쳐 보다 구체화될 예정이다. 착공은 민간사업의 경우 건축위원회 심의와 인허가 등을 거쳐 이르면 2026년에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상반기 중 서울숲 일대 리뉴얼 마스터플랜 공모를 통해 서울숲과 주변 지역에 대한 아이디어를 받아 사업 실현 방안도 구체화해나갈 방침이다. 업무시설이 급증하고 있는 성수 지역 내 문화·공연시설 등 부족 시설을 확충하는 방안도 자치구와 함께 모색한다.
사전협상을 통해 확보한 6054억원의 공공기여를 서울숲 일대 상습 교통정체 완화를 위한 기반시설 확충과 유니콘 창업허브 등의 시설 조성에 투입할 예정이다. 확보액 중 73%에 달하는 4424억원은 동부간선도로~강변북로, 성수대교 북단램프 신설 등 인접 지역 기반시설 확충에 할애해 주변 지역의 상습적인 교통문제 해결에 활용한다. 연면적 5만3000㎡ 규모의 유니콘 창업허브는 유망 스타트업의 스케일업고속 성장을 지원하는 전문 창업 시설로 조성된다. 이 밖에 약 1629억원은 설치비용현금으로 받아 서울숲 일대 리뉴얼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황순민 기자]
▶ ‘스타 요가강사’ 이유주, 18일 사망
▶ “미국 무기 14조원 어치 사겠다”…중국 위협 맞서 트럼프 환심사기 나선 이 나라
▶ [MBN] 남편·아들 잃었던 83세 원로 배우
▶ [단독] “금보다 이게 먼저”…벌써 1조어치 사재기, 부자 몰리는 이 자산
▶ “웬만한 성인 남성보다 크네”...용왕이 허락해야 볼 수 있다는 전설의 물고기, 제주서 잡혀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경영난 주인 바뀐 인스파이어…6조원 복합리조트 건설 앞날은 25.02.19
- 다음글"이거 필름 카메라 아냐?"…샤오미 역대급 카메라폰 승부수 25.0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