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억 완판 가수 선미 NFT, 발행 땐 적극 홍보하더니 가격 급락엔 방...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수십억 완판 가수 선미 NFT, 발행 땐 적극 홍보하더니 가격 급락엔 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02-20 17:51

본문

소속사·코스닥 업체 공동 발행
적극 홍보로 수십억 어치 완판
시장 위축에 가수도 활동 멈춰
투자자들 “제대로 된 사업 없다”
업체선 “약속 모두 이행” 주장


지난 2022년 2월 발행된 가수 선미의 NFT ‘선미야클럽’ 중 한 NFT. 거래소 오픈씨 갈무리

지난 2022년 2월 발행된 가수 선미의 NFT ‘선미야클럽’ 중 한 NFT. 거래소 오픈씨 갈무리



걸그룹 ‘원더걸스’ 출신 솔로 가수 ‘선미’가 코스닥 상장사와 발행한 NFT대체불가능토큰이 논란에 휩싸였다. 발행 초기엔 선미와 사측이 적극적으로 홍보해 완판되면서 수십억원을 조달했지만, 시장이 급랭하자 주요 혜택 제공이 중단되고 선미 역시 관련 활동을 멈추면서다. 업계에서는 관련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2022년 2월 선미와 소속사, 상장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이미지 등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디지털 증명서’인 NFT ‘선미야클럽’를 발행했다. 선미의 경우 본인의 가수 활동을 모티브로 한 디지털 일러스트가 NFT로 제작됐고, NFT 보유자를 대상으로 독점 서비스를 제공해 상품의 투자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별 팬미팅과 파티 초대는 물론, 전용 음원을 발매해 수익 일부를 보유자에게 환원하거나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해 혜택을 제공토록 했다. 자사 계열사가 발행한 가상자산을 NFT와 연계해 NFT를 보유하기만 해도 가상자산이 채굴제공되고 이를 상품화해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했다. 쉽게 말해 NFT와 연계된 선미의 오프라인 활동이 늘어나면 투자자의 혜택도 덩달아 늘어나 NFT와 가상자산의 가치가 높아지는 구조다.

지난 2022년 당시 ‘선미야클럽’ NFT 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행사에 참여한 가수 선미. 독자 제공

지난 2022년 당시 ‘선미야클럽’ NFT 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행사에 참여한 가수 선미. 독자 제공



당시 선미와 발행사 측은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면서 투자자 대상 발행물량9300개은 전량 완판돼 당시 시세로 수십억원의 자금을 모았다. 이후 G마켓과 롯데홈쇼핑 등과 제휴하고 가상자산 채굴도 지원하면서 가격은 해외거래소 등에서 급등세를 보였다.

문제는 2022년 하반기 테라-루나 사태와 가상자산거래소 FTX파산 사태로 가상자산과 NFT시장이 덩달아 추락하면서 불거졌다. 선미 NFT를 거래할 때 사용되는 가상자산의 가격이 급락했고, NFT 자체 가격도 추락하며 개당 수십만~수백만원에 달하던 NFT의 가치는 최근 수만원대로 떨어졌다.

시장이 얼어붙자 2023년부터 선미의 NFT 관련 활동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로드맵에 기재된 ‘탑 아티스트와의 음원 발매’ 등 주요 혜택도 같은 기간 사실상 중단됐다. 상품 가격에 결정적인 오프라인 연계가 사실상 중단된 것이다.

가수 선미의 이름을 딴 ‘선미야클럽’ NFT 발행 당시 공개된 NFT 로드맵. 독자 제공

가수 선미의 이름을 딴 ‘선미야클럽’ NFT 발행 당시 공개된 NFT 로드맵. 독자 제공



투자자들은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5000만원 이상을 투자했다는 투자자 A씨는 “발행사 측이 믿어달라고 해 기다렸지만 제대로 사업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발행사 측은 “프로젝트 시작 당시 발표한 로드맵들은 모두 이행한 상태이고 운영은 계속 지속해왔다”며 “NFT 조달 자금은 운영자금과 지난해 런칭한 신규 플랫폼 개발과 투자에 활용됐다”고 해명했다.

가상자산도 국내에선 상장되지 못했고, 가상자산 지급도 중단됐다. 가상자산 제공이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 저촉의 소지가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문제는 현재 가상자산법엔 가상자산과 NFT 관련 발행 규제가 전혀 없는 상태다. 앞서 2023년 금융감독원은 유명 연예인을 내세운 NFT 발행 주의보를 낸 적 있다. 폰지 사기돌려막기일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였다.

업계에서도 경고음이 나온다. 디지털 자산이 제대로 관리되도록 발행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NFT 발행만 하고 관리를 하지 않고 있다”며 “발행 관련 규제도 없고 재발 방지책이 없다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속보]윤석열, 4분 만에 탄핵심판 또 중도 퇴정···형사재판에서는 ‘침묵’
· 이준석 ‘언론유착’ 해명 없이 “이재명, 김부선·유동규엔 반박 못하면서…”
· 명태균 측 “오세훈 만났던 중국집 ‘송쉐프’···이래도 거짓말?”
· [속보]한덕수 “비상계엄 선포 국무회의, 형식적·실체적 흠결”
· ‘쯔양 협박’ 구제역 1심서 징역 3년…법정 구속
· [단독]‘6명 사망’ 반얀트리 시공사는 ‘부산 살인미수 피의자 불법면회’ 연루 기업…“수사 제대로 할 수 있나”
· LP 가스통 옆에서 닭 튀긴 백종원 ‘100만원 과태료’ 처분
· “김건희, 김영선에 ‘김상민 지원’ 땐 장관직 제안” 들은 김영선 “내가 벨도 없나”
· ‘체포용 케이블타이’ 국회 시연···“이걸로 어떻게 문 잠근다는 거냐” [국회 풍경]
· 오세훈 “불법 주정차 단속 안 되는 이유는 민선 구청장이기 때문”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65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8,26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