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창업주 손자, 한국 전남에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건설 추진"
페이지 정보

본문
[이투데이/이진영 기자]
“스톡팜로드 공동 창립자 ‘브라이언 구’ 등 주도”
최대 3GW 규모, 최고 350억 달러 투자
올해 착공, 2028년 완공 목표…전남도와 협약
출처 게티이미지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한국에 건설하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데이터센터가 계획대로 완공되면 최대 3기가와트GW 규모다. 미국에서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하나로 텍사스에 건설되는 1GW 규모의 데이터센터보다 규모가 3배 크다. 또 전 세계적으로도 단일 사이트에서 1GW 이상의 전력을 확보한 데이터센터는 드물다.
올해 초 착공해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곳은 투자그룹 ‘스톡팜로드’Stock Farm Road이다. 범LG가 3세인 ‘브라이언 구Brian Koo’와 런던 및 요르단에 기반을 둔 투자사 BADR인베스트먼트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아민 바드르엘딘’이 공동 창업자이다.
WSJ은 구 공동 창업자가 현재 한국의 데이터센터는 주로 국내 수요를 충족하는 수준인데, 한국은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한 대형 시설을 운영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자금은 최고 350억 달러가 투입된다. 스톡팜로드 산하의 투자자 그룹들은 초기 투자금으로 100억 달러를 투입하고, 장기적으로 최대 350억 달러약 50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WSJ은 조성 지역은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남서부의 전라남도라고 알렸으며, 구체적인 지역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투자자들은 전라남도와 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ㆍ용수 공급 등 인프라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됐다.
WSJ은 “미국의 스타게이트는 물론 유럽, 중동에서도 대형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면서 “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 등에서 대형 데이터센터 단지가 조성되고 있으며, 한국의 데이터센터는 이들과 경쟁해야 한다”고 말했다.
데이터센터 시장조사기관 DC바이트의 징웬 옹 아시아 태평양 지역 담당 연구 매니저는 “만약 이 프로젝트가 더 저렴하고 신속하게 진행된다면 한국 데이터센터에도 충분히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평했다.
[이투데이/이진영 기자 mint@etoday.co.kr]
[관련기사]
☞ 빈살만, 7.2조 유치해 네옴시티 AI 데이터센터 추진
☞ 암바니, 인도에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건설 추진…“현존 1위 MS 압도”
☞ 전력 인프라 교체부터 AI 데이터센터까지…뜨는 증시 키워드 ①전력
☞ 팀네이버, 사우디 전시회서 데이터센터-클라우드-AI 밸류체인 선보인다
[주요뉴스]
☞ 전쟁 끝나가는데…현대차, 14만원에 판 ‘러 공장’ 어쩌나
☞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스톡팜로드 공동 창립자 ‘브라이언 구’ 등 주도”
최대 3GW 규모, 최고 350억 달러 투자
올해 착공, 2028년 완공 목표…전남도와 협약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한국에 건설하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데이터센터가 계획대로 완공되면 최대 3기가와트GW 규모다. 미국에서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하나로 텍사스에 건설되는 1GW 규모의 데이터센터보다 규모가 3배 크다. 또 전 세계적으로도 단일 사이트에서 1GW 이상의 전력을 확보한 데이터센터는 드물다.
올해 초 착공해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곳은 투자그룹 ‘스톡팜로드’Stock Farm Road이다. 범LG가 3세인 ‘브라이언 구Brian Koo’와 런던 및 요르단에 기반을 둔 투자사 BADR인베스트먼트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아민 바드르엘딘’이 공동 창업자이다.
WSJ은 구 공동 창업자가 현재 한국의 데이터센터는 주로 국내 수요를 충족하는 수준인데, 한국은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한 대형 시설을 운영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자금은 최고 350억 달러가 투입된다. 스톡팜로드 산하의 투자자 그룹들은 초기 투자금으로 100억 달러를 투입하고, 장기적으로 최대 350억 달러약 50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WSJ은 조성 지역은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남서부의 전라남도라고 알렸으며, 구체적인 지역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투자자들은 전라남도와 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ㆍ용수 공급 등 인프라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됐다.
WSJ은 “미국의 스타게이트는 물론 유럽, 중동에서도 대형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면서 “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 등에서 대형 데이터센터 단지가 조성되고 있으며, 한국의 데이터센터는 이들과 경쟁해야 한다”고 말했다.
데이터센터 시장조사기관 DC바이트의 징웬 옹 아시아 태평양 지역 담당 연구 매니저는 “만약 이 프로젝트가 더 저렴하고 신속하게 진행된다면 한국 데이터센터에도 충분히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평했다.
[이투데이/이진영 기자 mint@etoday.co.kr]
[관련기사]
☞ 빈살만, 7.2조 유치해 네옴시티 AI 데이터센터 추진
☞ 암바니, 인도에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건설 추진…“현존 1위 MS 압도”
☞ 전력 인프라 교체부터 AI 데이터센터까지…뜨는 증시 키워드 ①전력
☞ 팀네이버, 사우디 전시회서 데이터센터-클라우드-AI 밸류체인 선보인다
[주요뉴스]
☞ 전쟁 끝나가는데…현대차, 14만원에 판 ‘러 공장’ 어쩌나
☞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서울 새 명소 탄생"…성수동 우뚝 들어서는 77층 건물 뭐길래 25.02.19
- 다음글김동명 LG엔솔 사장 "트럼프 車 관세 예상했다…큰 기조는 리밸런싱" 25.0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