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재미없길래" 구경 왔다가…성심당만 보고 가는 대전[노잼도시]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얼마나 재미없길래" 구경 왔다가…성심당만 보고 가는 대전[노잼도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3회 작성일 24-08-17 06:30

본문

뉴스 기사
[노잼, 도시의 재미를 찾아서]
lt;2gt;노잼도시 프레임에 갇혀버린 도시들
① 노잼도시 확산 배경된 대전…성심당은 양날의 검
정주여건 좋고 콘텐츠 많지만…외지인은 당일치기

편집자주재미없는 도시, 이른바 노잼도시를 아시나요? 놀거리·볼거리·즐길거리가 부족해 현지인은 심심하고 타지역에서는 방문하지 않는 도시를 말합니다. 2019년부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여러 도시를 두고 노잼도시라는 호칭을 붙였는데요. 재미로 시작된 일종의 밈이 대전, 울산, 광주, 청주 등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꿀잼도시 만들기 프로젝트로 이어질 정도입니다. 노잼 오명을 쓴 도시는 정말 재미없고 따분한 곳일까요? 도시를 재미있게 만드는 건 무엇일까요? 우리가 살아가는 장소와 공간에 대해 고민을 해보고자 합니다.

"여행 계획이요? 성심당 하나 보고 왔는데요."


7월 23일 오전 9시, 대전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빵집 성심당 본점에는 개장과 동시에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했다. 본점 옆 케이크만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성심당 부티크도 마찬가지였다. 가게가 인접한 대로변에 총알택시들이 줄이어 도착했다. 비 내리는 날씨에도 불구, 사람들은 우산도 채 펴지 않은 채 택시 문을 열고 달려 나와 가게 앞에 줄을 섰다.


여름 한정 케이크 망고시루를 사러 왔다는 25세 이지민씨는 "새벽부터 인천에서 왔는데 이 정도면 안 늦어서 다행"이라며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이씨는 "성심당 이후 일정은 어떻게 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없다. 케이크 사러 왔으니 이제 다시 밥 먹고 인천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답했다. 성심당이 있는 으능정이 거리는 한 집 건너 한 집이 임대 딱지를 붙인 공실 상가였다. 행렬과 대비를 이루는 모습이었다.


quot;얼마나 재미없길래quot; 구경 왔다가…성심당만 보고 가는 대전[노잼도시]

대전의 대표 명소가 된 성심당의 케익 부티크 앞에 아침 일찍부터 케익 구입을 위해 수백 명의 고객들이 줄을 서 있다. 사진=허영한 기자


대전=성심당 공식으로 지역 방문객 늘리는 데는 성공

대전은 곧 성심당이라는 공식이 각인되면서 대전은 오히려 노잼도시로 불리는 1순위 도시가 됐다. 성심당을 빼면 별 볼 일 없는 도시라는 이미지가 생긴 것이다.


그런데 노잼도시라는 수식어는 최근 대전의 관광객 유입에 정반대 효과를 가져다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을 둘러싼 노잼도시 논란이 시작된 이후 "대전이 정말 성심당 빼면 재미가 없는지 직접 보겠다"며 찾아오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이다. 실제로 대전 어느 동네를 가나 골목에는 성심당의 초록색 케이크 상자와 갈색 쇼핑백을 들고 다니는 외지인을 심심찮게 목격할 수 있었다.


ae_1723868165004_464063_5.jpg

대전의 대표 명소가 된 성심당 본점 앞에 빵을 구입하려는 방문객들이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사진=허영한 기자


이날 대전역 인근에 마련된 트래블라운지에는 평일 오전 8시 30분이라는 이른 시간에도 친구, 연인과 함께 있는 20대들이 2~3팀씩 들어왔다. 대부분 대전에 아침 일찍 도착했다가 성심당이 문을 열기 전 시간을 보내러 오는 사람들이었다. 트래블라운지 관계자는 "이곳이 2020년 생겼을 당시에는 사람이 이 정도는 아니었는데, 지금은 주말에 300~400명이 방문할 정도로 관광객이 많다. 매년 늘어나는 것 같다"며 "노잼도시라는 타이틀이 대전에서는 오히려 바이럴 마케팅 효과를 가져온 것"이라고 전했다.


통계도 이를 뒷받침한다. 한국관광공사 데이터랩의 지역별 방문자 수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0년 대전을 방문한 외지인의 수는 6949만5994명, 2021년 6914만2326명이었다가 2022년 7567만4507명, 2023년 8218만9941명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노잼도시와 성심당이 대전의 수식어로 자리 잡으면서 생긴 변화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 번화가 둔산동에서 소품샵을 운영하는 20대 육영채씨는 "성심당에서 딸기 시루 등 계절 한정 메뉴가 유행할 때면 우리 가게도 갑자기 손님이 확 늘어난다. 인근 상점들도 비슷하지 않겠느냐"며 "노잼도시라는 별명이 기분 나쁘지 않은 이유는 그래도 이제 대전이 유명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ae_1723868165010_740845_6.jpg
성심당 다음 행선지가 없어…양날의 검 된 성심광역시

문제는 성심당 이외에 재미있는 것이 없다는 대전의 이미지가 굳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전관광공사의 2023년 대전 관광객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전을 방문한 여행자 중 84.5%가 당일치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까지 하면서 머무를 관광요인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외지인 방문으로 지역 경제 창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체류 시간을 늘리는 것이 관건이다.


지역 관광 전문가들은 숙박 등의 관광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대전관광협회 관계자는 "대전은 경주와 달리 수학여행 등 단체 관광객을 수용할 수 있는 숙박 인프라가 없다. 대전을 다들 당일치기의 도시로 생각하는 이유"라며 "숙박-체험-관광으로 이어져 체류시간을 늘려야 소비도 늘어나고 여러 가지 효과가 함께 발생하는데, 이것이 되지 않으니 관광산업이 지체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사실 이는 대전의 지리적 특성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중앙 내륙에 위치해 대한민국 어디를 가든 비슷한 시간이 걸린다는 이점이 있으나, 이는 강릉이나 양양 같은 바다, 서울 한강 등 자연경관으로 찾아올 관광지가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또 카이스트KAIST, 대덕연구단지 등 대전이 가진 또 다른 과학도시의 이미지도 실질적으로 체험이 불가능한 정적인 요소다.


ae_1723868164978_620042_1.jpg

대전 성심당과 주변 은행동 상가의 상생 프로젝트 으능이랑 성심이랑을 안내하는 현수막이 성심당 주변 도로에 걸려있다. 참여하는 업체에 성심당 영수증을 제시하면 다양한 혜택을 주는 행사다. 사진=허영한 기자


이렇다 보니 대전을 방문한 여행객들은 성심당만 찍고 돌아가거나, 성심당 인근의 식당과 카페만 돌아다니는 먹거리 체험으로 나머지 일정을 채우곤 한다. 이날 대전 중앙시장에서 만난 20대 여성은 "친구가 대전사람이라 당일치기하러 왔다"며 "성심당 갔다가 대전에서 유명하다는 두부 두루치기를 먹고 맥주 축제 가보고 막차를 타고 갈 예정"이라고 했다.


갈리단길로 불리는 갈마동 카페거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20대 노모씨는 "성심당의 인기가 언제까지 갈지 모르겠다. 물론 대전에 와도 카페밖에 갈 곳이 없다고는 생각하지만, 대전을 정말 찍고 가는 수준으로 방문하는 사람이 많아 아쉽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성심당이 위치한 으능정이 거리에는 임대 딱지가 붙은 공실이 한 가게 건너 하나 있다. 인근 상인들 사이에서는 "성심당 근처 50m 반경에 카페는 절대 차려선 안 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성심당과 성심당이 운영하는 카페, 레스토랑 등이 모두 인근에 밀집해있기 때문이다.

ae_1723868164995_209281_4.jpg

대전의 대표 명소가 된 성심당에는 고객들로 붐비지만 이웃한 대전 은행동 상가 도로는 한산하다. 사진=허영한 기자


정주 여건 좋고 콘텐츠 많아…다른 정체성 발굴 필요

대전시 주민들은 대전이 성심당 이외에 다른 콘텐츠가 많고, 정주 여건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노잼도시라는 단어에 초점이 맞춰지는 것을 아쉬워했다.


대전 토박이로 갈리단길에서 카페 젤리포에를 운영하는 20대 맹세현씨는 “원래 대전은 성심광역시 이전에 과학도시다. 대덕연구단지가 위치한 전민동에서는 김 박사님하고 부르면 길 걷던 어른들이 너도나도 뒤돌아본다는 말이 있을 정도”라며 "스마트한 이과 도시의 이미지에 더해 사람들도 순하고 동네 어디를 가도 하천이 흘러 산책하며 걷기 좋은 잔잔한 도시"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ae_1723868164988_96827_3.jpg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그 자리에 그대로 있는 대전의 랜드마크 대전 엑스포 과학공원과 한빛탑. 사진=허영한 기자


대전을 중심으로 성장한 야구팀 한화 이글스도 주민들이 손으로 꼽는 볼거리 중 하나다. 이날은 한화와 기아 타이거즈의 야구 경기가 있는 날이었다. 오후 늦은 시간대가 되자 경기를 직관하러 한화 유니폼을 입은 사람들로 도시 곳곳이 북적였다.


지자체 차원에서도 콘텐츠 발굴에 힘을 쏟고 있다. 꿈씨 패밀리, 대전 0시 축제가 대표적인 예다. 1993년 대전 엑스포의 마스코트 꿈돌이는 한때 잠깐 추억 소환으로 주목받았다 지금은 주춤한 상태지만, 그동안 대전에 완전히 뿌리를 내렸다. 대전광역시는 꿈돌이 세계관 확장을 위해 시민 공모 사업으로 꿈돌이 가족의 새 캐릭터를 모집하는 등 지원에 나섰다. 그 결과 꿈순이와 가족을 꾸린 꿈돌이는 어느새 네 아이와 반려견 한 마리를 먹여 살리는 가장으로 변모했다. 올해부터는 잘 있거라 나는 간다. 대전발 0시 50분이라는 대중가요 대전 부르스를 모티브로 전 연령층을 어울리게 하는 0시 축제도 연다.


ae_1723868164982_254598_2.jpg

대전 신세계 아트 앤 사이언스Art amp; Science의 대전 홍보관


사실 대전은 정주 여건이 좋은 살기 좋은 도시기도 하다. 얼마 전 사단법인 한국지역경영원이 실시한 대한민국 지속 가능 도시 평가에서 유성구는 전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되기도 했다. 교통의 요지인데다 갤러리아 백화점, 신세계 아트 앤 사이언스 등 복합 쇼핑몰도 있어 지역 주민의 편의도 도모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성심당이라는 하나의 랜드마크 이외에 일상의 소소한 재미를 소개할 홍보, 그리고 정체성 발굴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혜진 대전세종연구원 연구위원은 "도시는 입체적인 공간이고, 여러 이면을 발굴하면서 재미가 생긴다. 랜드마크 하나만 기억된다는 것은 일장일단이 있지만 궁극적으로 도시 자체에 별로 좋은 것은 아니다"라며 "성심당으로 출발해 여러 지역 문화를 덧입히고 서사를 채워가는 방향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직전 기사 : 챗GPT가 그린 대한민국 지도…대전은 성심당 광주는 태극기

▶다음 기사 : 울산 하면 공업도시만 떠올라…"여기가 돈 벌어 떠나는 도시인가"



대전=전진영 기자 jintonic@asiae.co.kr

[관련기사]
부부싸움하다 절벽에 떨어진 아내…9시간 기어 오르더니 결국
"월 580만원 벌어요"…잠 못자는 사람들 늘자 등장한 직업
"일본이 안사? 우리가 사주자"…요즘 주문 폭주하는 이 과자
바나나 먹방 신유빈, 바나나맛우유 모델 됐다 "광고료 1억은…"
하루에 1억원씩 팔렸다…부동의 1위 월드콘 제친 아이스크림

2024년 사주·운세·토정비결 확인!
말로만 ‘간편’, 고객시간 뺏는 뺑뺑이 AI콜센터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893
어제
2,054
최대
3,806
전체
807,20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