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간 22달→1일"…LG생활건강 AI로 화장품 성분 개발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연구기간 22달→1일"…LG생활건강 AI로 화장품 성분 개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5-02-16 11:35

본문

엘지LG생활건강 제공




엘지LG생활건강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엘지생활건강은 “엘지생활건강과 엘지LG 에이아이AI연구원은 최근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공동 연구에서 물질의 용해도와 안전성을 개선한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엘지생활건강은 “화장품 원료의 경우 물질 자체의 효능은 탁월하지만, 용해도가 낮아 제품화가 어려운 성분들이 많은데, 이번 연구 성과를 토대로 최적의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엘지생활건강은 상용화 과정을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인공지능 기반 고효능 성분을 담은 화장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피부 항노화 트렌드 ‘스킨 롱제비티Skin Longevity·피부 장수’ 관점에서 원료를 개발할 방침이다. 스킨 롱제비티는 피부의 탄력, 활력 등을 포함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기술이다.



이번 연구는 엘지 에이아이연구원의 신물질 발굴 특화 인공지능 모델인 ‘엑사원 디스커버리EXAONE Discovery’를 활용했다. 기존 국내 화장품 업계에선 인공지능 모델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원료 소재를 분석했지만,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이 전체 연구 공정을 설계했다는 게 엘지생활건강의 설명이다.



엘지생활건강은 “실제로 엑사원 디스커버리가 물질의 분자 구조 데이터를 대량으로 분석해 각 물질 특성을 예측함으로써 연구에 활용할 후보 물질을 찾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었다”며 “기존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과 논문에 의존하다 보니 후보 물질을 선정하는 데만 2년 가까이평균 1년10개월 소요됐고, 다양한 실험 재료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도 별도로 들어갔다.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엑사원 디스커버리를 활용해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데 하루1일면 충분했다”고 밝혔다.



엘지생활건강은 추가 연구를 통해 고효능 원료로 개선하고, 이르면 내년부터 자사 브랜드 ‘더후’The Whoo’ 화장품에 처음 적용할 계획이다.



박지영 기자 jyp@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질서 유지’라더니…12·3 계엄군, 국회 본관 전력 차단했다

[단독] “사격·폭파 요원 추천해라”…노상원, 수첩 속 ‘살해’ 준비했나

홍준표 “광주가 변해” 박지원 “쪼개졌다고? 버스로 외인 동원”

“민주주의 위기에 관심”…빈자리 많던 서울대 ‘헌법 수업’ 인기

추천부터 재가까지 5시간, 박현수 서울청장…“코드 인사이자 졸속 승진”

‘김근태상 수상’ 국회·190명과 18명, 기억해야 할 이름들

“민주주의 지키자” “종북 좌파 OUT” 서울대 광장서 충돌

광주 등장한 황현필 ‘역사 바로잡기’ “민주성지에 내란세력이…”

이재명 “윤석열 파시즘…눈 밖에 난 이들 집단학살 하려 했다”

‘윤석열 궤변’ 반복한 전한길, 이승만·박정희 독재까지 옹호

한겨레>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31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42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