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안전, 정부가 직접 인증…제작부터 폐기까지 관리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전기차 배터리 안전, 정부가 직접 인증…제작부터 폐기까지 관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6회 작성일 25-02-16 11:01

본문

차량 판매 이전 안전성 확인…화재 발생시 일련번호로 신속 원인분석

전기차 배터리 안전, 정부가 직접 인증…제작부터 폐기까지 관리포켓식 수조로 전기차 화재 진압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앞으로 국내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기업은 시중 판매 이전에 정부의 배터리 안전성 인증 절차를 통과해야 한다.

또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의 제작부터 운행과 폐기 단계까지 전 주기에 걸쳐 이력을 관리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및 이력 관리제가 오는 17일부터 시행된다고 16일 밝혔다.

정부는 잇따른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국민적 불안이 커지자 지난해 9월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을 발표하고 세부 시행 절차를 마련해 왔다.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사전에 시험·인증하는 제도다.

2003년 차량 제작사가 스스로 안전성을 인증하고 정부가 사후 검증하는 방식자기 인증제을 시행한 지 22년 만에 제도가 전면적으로 변경된 것이다.

정부가 배터리 안전성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신기술 도입에 따른 위험부담도 정부가 업계와 분담한다는 의의가 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AKR20250214114500003_01_i.jpg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절차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함께 도입되는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개별 배터리를 제작할 때부터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도록 하는 제도다.

식별번호는 생산 연월을 포함한 24자리 이하의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배터리가 두 개 이상이면 각 번호를 모두 기재해야 한다.

정부는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배터리 제작과 전기차 운행 단계에서 배터리의 정비, 검사 이력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등 사고의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진다.

추후 배터리를 교환하면 식별번호를 새로 등록하도록 해 배터리 이력을 촘촘하게 추적 관리할 예정이다. 리콜로 배터리가 교환되는 경우에는 변경된 식별번호가 연계 등록되도록 해 차량 소유주의 불편은 최소화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오는 2027년까지 배터리 이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향후 사용 후 배터리 등 연관 산업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전기차 보급 확대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만큼 배터리 안전성 확보는 국민 안전은 물론 자동차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sh@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매일 119원씩 모은 소방관들…피해자 지원금 5년 만에 12억
급락 주식 제때 거래 못 해 폭언 듣고 숨진 증권맨…업무상 재해
인천 길상산서 10m 아래로 추락한 60대 사망…"실족사 추정"
2살 딸 폭행해 숨지자 집에 6개월간 유기…20대 아빠 구속
초등생 제자 상습 성추행하고 한국 떠난 태권도 관장 철창행
형 사망 사실 숨겨 예금 9억 찾고는 "생전 증여" 발뺌한 동생
부모 건물에 불 지르고 도주한 30대 검거…"경제적 갈등"
美 가수, 테슬라車 판 뒤 "머스크가 위협한 공영방송에 기부"
대법 "장자연 보도 MBC, TV조선 부사장에 배상" 확정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73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36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