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기업 임금, 日·EU보다 높아…중소기업도 日 추월"
페이지 정보

본문

2022년 한#x2027;일#x2027;EU20개국 평균의 대기업 연 임금총액PPP 환율 기준 비교 경총 제공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우리나라 대기업 임금 수준이 일본과 유럽연합EU 20개국 중에 5위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16일 발표한 한#x2027;일#x2027;EU 기업규모별 임금수준 국제비교에 따르면, 한국·일본·EU 20개국 등 22개국 중 우리나라 대기업 연 임금총액초과급여 제외은 8만7130달러로 5번째로 높았다. EU 20개국 대기업 평균8만536달러과 비교하면 8.2%, 일본 대기업5만6987달러보다는 52.9% 높은 수치다.
경제수준을 고려한 1인당 GDP 대비 대기업 임금수준은 우리나라가 156.9%로 EU 평균 134.7%, 일본 120.8%에 비해 각각 22.2%포인트p, 36.1%p 높게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그리스166.7%, 프랑스160.6%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이는 지난 20년2002~2022년 동안 대기업 임금 인상률이 일본 및 EU 대기업 임금 인상률보다 월등히 높았던 결과다. 이 기간 우리 대기업 임금 인상률은 157.6%2741만원→7061만원로 EU 대기업 평균84.7%과 일본 대기업#x2013;6.8%보다 월등히 높았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우 연 임금총액은 5만317달러로 일본4만2022달러보다 19.7% 높았고, EU평균5만2398달러보다 4% 낮았다. 개별 국가로는 22개국 중 10위로 중위권에 해당했다. 1인당 GDP대비 중소기업 연 임금수준은 우리나라가 90.6%로 일본89.1%, EU평균87.6%과 비슷했다. 국가순위로는 5위로 조사됐다.

한·일·EU20개국 평균의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변화 ’02년 → ’22년 경총 제공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도 커졌다. 2002년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은 한국 70.4%, 일본 64.2%, EU 평균 76.6%였다. 하지만, 2022년에는 한국 57.7%, 일본 73.7%, EU 평균 65.1%로 우리나라의 기업 규모 간 임금 격차가 일본#x2027;EU보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총은 한국, EU, 일본의 임금 인상률을 고려하면 우리 대#x2027;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확대는 국내 중소기업 임금 인상률이 낮아서라기보다는 대기업 임금이 급격히 인상됨에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 전 규모10인 이상 사업체 연 임금 총액은 5만9191달러로 EU 평균 6만7214달러보다 13.6% 낮았지만 일본 4만8729달러보다는 21.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시간당 노동생산성이 52.98달러로 2022년 기준 OECD 21개국 중 17위인 점을 고려하면 우리 임금수준11위은 노동생산성에 비해 높다는 분석이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 기업의 성장 동력이 갈수록 악화하는 현 상황에서 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임금 인상은 지속 가능할 수 없다"며 "직무와 성과에 기반한 임금 체계로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pkb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전기차 배터리 안전, 정부가 직접 인증…제작부터 폐기까지 관리 25.02.16
- 다음글싼타페·아이오닉5, 캐나다 올해의 차 됐다 [CarTalk] 25.02.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