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너무 갖고싶다"…청년 체감실업률 4년 만에 최악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직장 너무 갖고싶다"…청년 체감실업률 4년 만에 최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2-16 11:16

본문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지난달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이 약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냥 쉬는 청년 인구도 9개월째 늘었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p 오른 16.4%를 기록했다.


지난달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의 전년대비 증가폭은 2021년 2월26.8%의 3.7%p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고용보조지표3은 노동시장에서 채워지지 못하는 실질적 일자리 수요를 포괄해 나타내는 지표로, 피부로 느끼는 고용 상황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체감실업률이라고도 불린다.

청년층 실업률은 6.0%로 1년 전과 같았고, 실업자 수는 23만명으로 1만6000명 줄었지만 체감상 어려움이 갑작스레 커졌다는 뜻이다.

청년 체감실업률이 크게 악화한 것은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들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경제 활동을 하고는 있지만 더 많이 일하길 원하는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의 수는 13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1000명 늘었다.

역시 2021년 2월4만6천명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이들이다.

일단 취업자로 통계에 잡히지만, 정규직 등 안정된 일자리가 한정된 상황에서 취업에 실패하거나 구직 기간이 길어지는 청년들이 생계 등을 위해 임시·단기 일자리에 뛰어들고 있다는 뜻이다.

반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취업자가 큰 폭-21만8000명으로 줄면서 1.5%p 하락한 44.8%를 기록했다. 2021년 1월-2.9%p 이후 4년 만에 최대 낙폭이다.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력직 채용 비중이 커진 점이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시장이 이렇다 보니 지난달 뚜렷한 이유 없이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통계도 청년층에서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증가해 43만4000명을 기록했다.

정부는 본격적으로 시작될 조짐이 보이는 청년 고용 악화 고착 흐름을 끊기 위해 일단 양질의 일자리로 불리는 공공부문에서 마중물을 댈 방침이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하늘양 할머니의 충격 증언 "피묻은 여교사 몸에..."
20분 일찍 출근 여직원 칭찬했는데...CCTV 보고 경악
"나이 속이고 14살 만나" 산다라박, 성착취 논란에 영상 삭제
"심각한 상태" 구준엽, 서희원 잃고 근육 소실을...
이수근 아내 박지연, 안타까운 근황 "신장 이식받았지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82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37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