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 비싼 월세에도 줄 선대"…해외 큰손들 눈독
페이지 정보

본문
- 한국 주거시장도 외국계 개발사 눈독…알짜시장 파이 뺏긴다
- 전세사기·전셋값 상승에 월세전환↑
- 매력적인 임대료 수익 시장…투자 늘리는 외국계 자본
- 전세사기·전셋값 상승에 월세전환↑
- 매력적인 임대료 수익 시장…투자 늘리는 외국계 자본
이 기사는 2025년02월18일 06시02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지영의 기자] 외국계 투자·개발사들이 국내 임대주택 및 오피스텔 등 주거시장에 부쩍 투자를 늘려나가고 있다. 전세 사기와 전셋값 상승 여파 속에 월세 비중이 느는 데다 1인 가구 증가, 월세의 고액화로 임대 수요가 꾸준히 상승하는 ‘돈 되는’ 임대 시장을 발 빠르게 노리는 분위기다.
|
본디 호텔로 운영되던 건물을 매입, 대대적인 리모델링 작업을 거쳐 157객실의 주거시설로 바꿔 임차인을 모집 중이다. 대체로 보증금이 높은 국내 시장 주거 건물과 다르게 보증금이 낮고 월세월 임대료가 높은 형태로 제공한다. 공실 없이 임차인 모집이 마무리되면 월 임대수익을 기반으로 외국계 회사들이 배당식 투자수익을 확보해가는 방식이다.
|
한 IB업계 고위 관계자는 “금융주선을 하다보면 외국계 투자사들이 소유 예정인 경우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리모델링이 필요한 밸류애드리모델링, 증축 등 수익 향상으로 부동산 가치를 높이는 투자나 오퍼튜니스틱Opportunistic, 토지 매입 후 개발 등을 통해 준공으로 비용을 높이는 투자 유형의 자산을 골라서 사들이는 사례가 부쩍 늘었다”며 “임대 수익률이 높아지고 있으니 배당 수익을 챙길 수 있고, 추후 시장 분위기를 봐서 지분 매각 차익까지 누릴 수 있으니 자금을 늘리는 것”이라고 전했다.
외국계 투자사들이 잇따라 국내 시장에서 임대사업 공략에 나서는 이유는 자본 차익과 배당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국내 시장은 전세 수요와 공급이 높은 분위기였지만, 고금리 기조에 이어 전세 사기 여파가 시장을 짓누르면서 월세 전환이 늘어나는 등 임대 구조가 달라지고 있다.
부동산 플래닛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국 오피스텔의 전월세전환률 집계 결과 서울은 5.76%, 지방은 6.75%로 나타났다. 각각 지난해 연초 5.64%, 6.55% 대비 상승 추세라는 평가다. 임대수익률도 오르는 추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임대수익률은 지난해 1월 5.27%에서 연말에 5.45%로 올랐다. 같은 기간 서울은 4.78%에서 4.90%로, 지방도 5.69%에서 5.86%로 높아졌다.
▶ 관련기사 ◀
☞ "2억 올랐어요" 지하철 개통 앞둔 이 동네
☞ 전 여친 어머니 앞에서 55차례나...서동하, 무기징역에 항소
☞ 버려진 아파트서 발견된 ‘이 작품, 47억에 팔려…정체 보니
☞ “밀고 들어가”…90대 성폭행한 70대 이장, CCTV에는
☞ “이혼했던 남편과 불륜女 ‘법적 부부…나만 상간녀 됐다”[사랑과 전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지영의 yu02@
관련링크
- 이전글네이버·카카오, 한경협 합류 결정…20일 총회서 승인 25.02.18
- 다음글콩알만 해도 싹쓸이 전례 없는 광경…한국에서 유독? 25.02.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