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애플페이 확산 조짐에 삼성페이 수수료 부과 움직임…소비자들 ...
페이지 정보

본문

삼성전자가 이르면 연내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삼성페이에 수수료를 부과하려는 움직임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전자 측은 이달 중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실을 방문해 삼성페이 수수료 부과와 관련한 논의를 전달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에도 카드사들을 만나 삼성페이 수수료 부과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2015년 삼성페이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10여년간 카드사에 별도 수수료를 받지 않았다. 국회 정무위 관계자는 “애플페이 등의 외연 확대에 삼성 측이 내부적으로 수수료 부과를 검토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카드사와 맺은 삼성페이 서비스 운영 계약은 8월경으로 알려져 있어 부과 시점도 해당 시점 전후로 정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페이 수수료 부과와 관련해 “확정된 바 없다”라고 말했다. 다만 수수료가 부과돼도 자체 수익을 가져가기보다 대고객 마케팅을 통한 고객과 소상공인 혜택으로 돌려주겠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의 움직임은 애플과 연관이 있다. 2023년 애플은 현대카드와 애플페이 운영 계약을 맺었는데, 업계에 따르면 현대카드가 애플페이에 내는 수수료율은 0.15%선으로 알려져 있다. 올해 1분기1~3월 중 신한·KB국민카드와도 추가 제휴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에 삼성페이가 무료 서비스 정책을 유지할 유인이 적어진 셈이다.
삼성전자와 애플의 본격적인 ‘페이 전쟁’으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결제는 더욱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결제 비중은 실물 카드를 넘어섰고, 2024년 하반기1~6월 현재 52.1%에 달한다. 업계에 따르면 애플페이 가맹점은 전체 카드 가맹점319만4000개의 10% 수준으로 전해졌다. 애플페이는 NFC 방식으로 구형 단말기에서는 이용이 불가한데 카드사 추가 계약을 계기로 영세 중소가맹점의 단말기 대체 수요가 확장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실질적인 카드 혜택 축소 가능성도 제기된다. 업계에서는 간편결제 1위 삼성페이가 애플과 같은 수수료를 부과하면 연 700억 원 수준의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애플페이에 이어 삼성페이까지 수수료를 부과하면 카드사들의 수익성 타격은 불가피한만큼, 장기적으로 소비자 혜택 축소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이날 국회 정무위에서도 김병환 금융위원장을 대상으로 ‘애플페이 결제수수료로 인해카드사에서 소비자한테 주는 편의 등을 줄인 것이 있는지 검토하라’는 요구가 있었다. 다만 당국에서는 신용카드사가 애플페이 등 관련된 수수료 등을 고객 또는 가맹점에 부담하게 하지 않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조연행 금융소비자연맹 회장은 “제조사들의 간편결제 서비스 확장으로 대고객 편의성은 증대될 수 있으나, 합리적인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면 소비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라면서 “소비자들에게 투명하게 관련 정보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신무경 기자 yes@donga.com
관련링크
- 이전글삼성 초격차·반도체 중심 이사진 재편…이재용 복귀는 불발 25.02.18
- 다음글삼성전자 임원들, 성과급으로 5000억어치 자사주 받는다 25.02.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