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거리 비행에 많이 쓰는 보잉737-800…국내 100여대 운영
페이지 정보
본문
29일 사고가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는 ‘단거리 비행의 대표’로 꼽히는 보잉737-800 기종으로 국내 항공사에서 100여 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 세계적으로 단거리 비행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믿었던 기종에서 사고가 발생하면서 이용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제주항공이 기체 관리를 잘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제주항공 측에서는 “사고 원인을 불문하고 책임을 통감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국공항공사 집계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국내 항공사들이 보유한 보잉737-800 항공기는 총 106대다. 제주항공이 42대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고, 티웨이항공 27대, 진에어 20대, 이스타항공이 10대, 대한항공이 7대 등이다.
사고 항공기는 2009년 9월 제작됐다. 기령비행기 나이이 약 15년 정도로 오래되지는 않았다. 제주항공은 중고 기체를 2017년 2월 임차 방식으로 도입해 운영해 왔다. 다만 제조사인 보잉이 2020년부터 해당 기종을 생산하지 않으면서 항공사들은 점차 최신기종으로 바꿔가던 추세였다.
제주항공 역시 기존 B737-800 기종을 차세대 B737-8 기종으로 전환하을 진행하고 있던 중이었다. 2018년 11월 보잉사와 B737-8 50대확정 40대, 옵션 10대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제주항공은 지난해 이미 B737-8 두 대를 도입한 바 있다.
항공업계에서는 보잉737-800이 안정성이 매우 높은 기체라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제주항공이 항공기 관리를 소홀히 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국토교통부의 ‘항공안전법상 국적사 과징금 처분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5년간 제주항공이 납부한 과징금은 37억3800만 원이다. 대상이 되는 국내 8개 항공사 중에 제주항공이 가장 많은 액수를 냈다.
사전징후가 있었던 주장도 나왔다. 사고가 나기 이틀 전인 27일 제주항공 7C2216편을 이용한 한 승객이 “시동이 몇차례 꺼져 불안해 승무원에게 이야기했다”고 밝힌 사실이 이날 뒤늦게 알려졌다. 이에 앞서 2022년에는 제주항공 여객기가 일본 간사이 공항에서 엔진 사고로 회항한 사건이 또다시 지적되기도 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보잉737-800은 오랜 기간 글로벌 항공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모델 자체의 문제는 아닐 가능성이 높다”며 “그럼에도 해당 모델을 운행하고 있는 각 항공사에서 기체에 대한 특별 점검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주항공이 무안~방콕 간 운항을 시작한 지 한 달 도 안돼 사고가 발생한 점도 주목된다. 운항 경험이 적은 상태에서 돌발 상황까지 발생해 상황을 더 키웠을 수 있다는 얘기다. 제주항공은 8일부터 전남 무안과 태국 방콕을 오가는 국제선 운영을 시작했다. 운항 21일만에 대형 참사가 발생한 셈이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는 서울 강서구의 한 호텔에서 연 긴급 기자회견에서 “정비 프로그램에 따라 지속적으로 정비하고 있고 이 사고 항공기에 이상이 있었던 징후는 전혀없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2022년 간사이 공항 사건’과의 연관성에 대한 질문에는 “그것과는 전혀 관계 없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관련링크
- 이전글새떼 충돌 경보 2분 만에 조난신호…랜딩기어 미작동 미스터리 24.12.29
- 다음글슬픔에 잠긴 무안 여객기 사고 유가족, PTSD 막으려면 24.12.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