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FACT] "2주째 고민만" 치솟는 금값에 소비자도 시름 영상
페이지 정보

본문
[더팩트|이상빈·김민지·유영림 기자] "처음 오기 전에는 저희가 예산을 50만~60만 원으로 잡았는데 지난주 와서 보니까 70만 원은 다 넘어가는 것 같았어요."
<더팩트> 취재진이 지난 17일 서울 종로 귀금속 거리에서 만난 20대 여성 A 씨는 남자 친구 B 씨와 이곳을 2주째 방문하고 있습니다. 14K 골드 커플링을 맞추기 위해서입니다. 더팩트>
최근 몇 주 사이 치솟은 금값이 두 사람의 발길을 연거푸 종로로 향하게 하지만 뚜렷한 성과는 없습니다. B 씨는 "금값이 오른다는 건 알고 있었고 커플링도 맞출 계획이 있어서 그러면 시장조사를 한번 하자고 해서 왔다"며 "지난주 한번 돌았을 때는 이 디자인에 이 가격70만 원 이상을 내는 게 불합리하다고 생각했다. 오늘 보니까 80만 원대 팔고 있더라"고 설명합니다.
A 씨도 "원래 알고 있던 금값에 비해 1.5배는 비싼 것 같다"면서 "2~3년 전 순금 한 돈3.75g에 30만 원이었을 때가 괜찮았다"고 혀를 찹니다.
2주간 둘러봐도 금 커플링 가격은 여전히 부담스럽습니다. 이날도 두 사람은 쉽사리 지갑을 열지 못한 채 발걸음을 돌립니다.
![]() |
17일 서울 종로구 귀금속 거리 한 금은방에서 소비자가 금 목걸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유영림 기자 |
금값이 연일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취재진이 종로 귀금속 거리를 찾은 이날 한국금거래소 금 한 돈 시세는 58만 6000원오전 10시에서 59만 원오후 5시 사이입니다. 금값이 크게 오르면서 대표적인 선물용 금제품인 돌 반지와 골드바의 시중 판매가는 한 돈에 60만 원을 넘어갑니다.
종로 모 귀금속 매장 직원은 취재진에 "돌 반지 기본형이 60만 원이다. 다른 모델은 공임이 2만 원 이상 더 들어간다. 골드바는 한 돈에 62만 원이다"고 설명합니다.
금을 찾는 소비자들의 비용 부담이 커지자 1g 제품도 시중에 등장했습니다. 취재진이 들른 종로 귀금속 거리 일부 매장에서는 일명 콩알금으로 불리는 적은 용량의 금제품도 팔고 있습니다.
모 매장 관계자는 취재진에 "콩알금은 반 돈이랑 1g이 있다. 1g은 하나에 20만 원이다. 보통 하나씩 선물한다"며 "콩알금 1g 사면 은 1g도 같이 드린다. 은 가격이 올라서 패키징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같은 1g이라도 돌 반지보다 콩알금이 조금 비싸다"고 소개합니다.
콩알금을 반 돈씩 팔고 있는 또 다른 매장 업자도 "이렇게 두 개 해서 한 돈이고 가격은 60만 3000원"이라며 "금액하고 상관없이 여유 있을 때 하나씩 사 놓으면 장기적으로 괜찮을 거다"고 말합니다.
![]() |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강남귀금속타운에서 판매 중인 1g 돌 반지 모습. 판매 상인은 "보기에는 한 돈짜리 금 반지와 같지만 무게가 다르다"고 말했다. 우측 하단 붉은 원은 콩알금 /이상빈·김민지 기자 |
취재진이 이날 오후 5시에 찾은 서울 서초구 강남귀금속타운의 순금 한 돈 시세는 58만 5000원에 맞춰져 있습니다. 돌 반지 한 돈은 기본 시세에 공임이 붙어 59만 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곳 모 매장 업자는 "반 돈도 사람들이 많이 산다. 오늘 반 돈 가격은 29만 7000원이다. 평균적으로 반 돈은 30만 원, 한 돈은 60만 원으로 생각하면 된다"며 "모양이 있는 한 돈 돌 반지는 공임이 더 비싸서 58만 5000원에 공임 2만 5000원을 더해 61만 원"이라고 털어놓습니다.
"반 돈과 한 돈 중 더 잘 팔리는 돌 반지가 무엇이냐"는 취재진 물음에 인근 매장 업자는 "가족들에게 선물할 때는 한 돈을 많이 사 간다. 친구 아기 선물로 줄 때는 한 돈은 가격이 부담스러우니 겉보기에 큰 차이가 없는 반 돈을 사기도 한다"고 말합니다.
"금 대체재로 은도 많이 팔리냐"는 질문에 이 업자는 "은은 열 돈 해 봐야 8만 원 정도다. 갖고 있어도 금만큼 값어치가 나가지 않아 수요가 많지 않다. 실버바는 매장에 없어서 필요하면 주문해야 한다"고 답합니다.
pkd@tf.co.kr
alswl5792@tf.co.kr
forest@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인기기사]
· 이재명, 상속세 완화 속도…중도확장 속 정책 일관성 지적도
· [TF인터뷰] "완벽하지 않아서 좋아"…제작진이 전한 솔로지옥4 매력
· [오늘의 날씨]우수 눈 녹기는커녕…출근길 다시 강추위
· [금융지주 실적] 함영주 2기 하나, 승부처는 비은행…카드 효자 등극
· 불황 속 효자 된 창고형 할인점…트레이더스·코스트코 경쟁도 치열
- 특종과 이슈에 강하다! 1등 매체 [더팩트]- 새로운 주소 TF.co.kr를 기억해주세요! [http://www.TF.co.kr]
- 걸어 다니는 뉴스 [모바일웹] [안드로이드] [아이폰]
- [단독/특종] [기사제보] [페이스북] [트위터]
이상빈, 김민지, 유영림
관련링크
- 이전글한화오션, 美 필리조선소 인수 계열사 주식 추가 취득 25.02.18
- 다음글구독경제 전성시대…소비자 95% "서비스 이용경험" 25.0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