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대 6조각에 2만5000원" 바가지 상술 논란…해결 방법은 없나?
페이지 정보

본문
주최 측 “28일 발생, 다음날 바로 시정 조치 취했다”
“직접 노점 운영한 게 아닌 공간만 마련해 줬을 뿐”
전문가들 “소비자 불만 해소 위해선 축제 준비 단계서
가격 책정, 물가 안정 등 철저하게 관리할 필요 있다”
최근 제주도에서 열린 벚꽃 축제에서 한 노점이 판매한 순대볶음이 과도한 가격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단 6조각의 순대가 제공된 이 메뉴의 가격은 무려 2만5000원이었다.
1일 제주도에 따르면 논란이 확산되자 축제 주최 측은 즉각 해명에 나섰다. 주최 측은 “사태를 인지하고 다음날 바로 시정 조치를 했다”면서 “일부 점포가 아닌 특정 노점 한 곳에서 발생한 일”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주최 측이 직접 노점을 운영한 것은 아니며, 노점상들에게 위생 교육과 가격 표시제 등을 안내했다”며 “노점 질서 유지를 위해 공간을 마련해 준 것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몇 년 사이 제주도에서 바가지 요금 논란이 지속되며 관광객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소비자 리서치 전문기관인 컨슈머인사이트의 조사 결과, 제주도는 관광지 만족도에서 7위에 머물렀다. 2016년부터 2022년까지 7년 연속 1위를 지켜왔던 제주도는 2023년 4위로 하락한 데 이어 올해는 7위까지 떨어졌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제주도는 물가·상도의상업적 도덕성 항목에서 지난해에 이어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먹거리 평가 역시 계속 하락하고 있다”며 “고물가와 바가지 논란이 제주 관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지역 축제에서 바가지 요금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7일부터 16일까지 전남 광양 매화마을에서 열린 제24회 광양매화축제는 ‘자동차, 일회용품, 바가지 요금이 없는 3무無 축제’를 표방했음에도 바가지 논란을 피하지 못했다. 어묵 꼬치 한 개에 5000원, 파전 한 장에 1만5000원 등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 여의도 봄꽃 축제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해 이 축제에는 하루 최대 80만 명이 찾았는데, 바가지 요금을 비롯한 불법 노점상이 성행했다. 시는 축제 기간 동안 바가지 요금과 보행로 점유 등의 위반으로 총 124건의 과태료 처분을 내렸지만, “축제 장소에서 노점 진입 자체를 막긴 어려워 사후 조처를 하고 있다”며 완전한 해결이 쉽지 않음을 시사했다.
이처럼 지역 축제에서 바가지 요금 문제가 반복되자 정부는 최근 ‘지역축제 물가안정 관리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축제 준비 단계부터 합리적인 가격이 책정될 수 있도록 관련 부서와 긴밀히 협조하고, 가격표 게시 및 적정 가격 여부를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지역 축제에서 발생하는 바가지 요금 문제는 일부 상인의 일탈로만 볼 수 없다”며 “축제 주최 측이 위생 교육과 가격 표시제를 안내했다고 하지만, 이를 실천하지 않은 상인들에게도 책임을 물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소비자 불만을 해소하려면 축제 준비 단계에서부터 가격 책정과 물가 안정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엄마 미모 몰빵…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예비신랑과 2번 만에 성병…“지금도 손이 떨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직접 노점 운영한 게 아닌 공간만 마련해 줬을 뿐”
전문가들 “소비자 불만 해소 위해선 축제 준비 단계서
가격 책정, 물가 안정 등 철저하게 관리할 필요 있다”
최근 제주도에서 열린 벚꽃 축제에서 한 노점이 판매한 순대볶음이 과도한 가격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단 6조각의 순대가 제공된 이 메뉴의 가격은 무려 2만5000원이었다.
![]() |
좌 2만5000원어치 순대볶음, 우 4만원어치 고기. 스레드 캡처 |
이어 “주최 측이 직접 노점을 운영한 것은 아니며, 노점상들에게 위생 교육과 가격 표시제 등을 안내했다”며 “노점 질서 유지를 위해 공간을 마련해 준 것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몇 년 사이 제주도에서 바가지 요금 논란이 지속되며 관광객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소비자 리서치 전문기관인 컨슈머인사이트의 조사 결과, 제주도는 관광지 만족도에서 7위에 머물렀다. 2016년부터 2022년까지 7년 연속 1위를 지켜왔던 제주도는 2023년 4위로 하락한 데 이어 올해는 7위까지 떨어졌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제주도는 물가·상도의상업적 도덕성 항목에서 지난해에 이어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먹거리 평가 역시 계속 하락하고 있다”며 “고물가와 바가지 논란이 제주 관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지역 축제에서 바가지 요금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7일부터 16일까지 전남 광양 매화마을에서 열린 제24회 광양매화축제는 ‘자동차, 일회용품, 바가지 요금이 없는 3무無 축제’를 표방했음에도 바가지 논란을 피하지 못했다. 어묵 꼬치 한 개에 5000원, 파전 한 장에 1만5000원 등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지적이 나왔다.
![]() |
지난 29일 오후 제주시 삼도일동 거리에 왕벚꽃 축제를 보기 위해 시민과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뉴시스 |
지난해 이 축제에는 하루 최대 80만 명이 찾았는데, 바가지 요금을 비롯한 불법 노점상이 성행했다. 시는 축제 기간 동안 바가지 요금과 보행로 점유 등의 위반으로 총 124건의 과태료 처분을 내렸지만, “축제 장소에서 노점 진입 자체를 막긴 어려워 사후 조처를 하고 있다”며 완전한 해결이 쉽지 않음을 시사했다.
이처럼 지역 축제에서 바가지 요금 문제가 반복되자 정부는 최근 ‘지역축제 물가안정 관리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축제 준비 단계부터 합리적인 가격이 책정될 수 있도록 관련 부서와 긴밀히 협조하고, 가격표 게시 및 적정 가격 여부를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지역 축제에서 발생하는 바가지 요금 문제는 일부 상인의 일탈로만 볼 수 없다”며 “축제 주최 측이 위생 교육과 가격 표시제를 안내했다고 하지만, 이를 실천하지 않은 상인들에게도 책임을 물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소비자 불만을 해소하려면 축제 준비 단계에서부터 가격 책정과 물가 안정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엄마 미모 몰빵…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예비신랑과 2번 만에 성병…“지금도 손이 떨려”
관련링크
- 이전글전국 월세 비중 처음 60% 넘었다…지방 빌라는 83% 수준 25.04.01
- 다음글지니뮤직, 본업 위기 속 적극적 신사업 확장 유효…"현 주가, 악재 선반... 25.04.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