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월세 비중 처음 60% 넘었다…지방 빌라는 83% 수준
페이지 정보

본문
집값 떨어져 전세금 못 올리니 월세라도…지방 부동산 침체가 주요 요인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작년 서울 연립·다세대 거래량이 반등하며 월세 선호 경향이 뚜렷하게 드러난 가운데 27일 서울 시내 한 연립·다세대 단지의 모습. 2025.3.27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전국의 신규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지방에서는 다세대·다가구 등 비非아파트 세입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월세 계약을 맺을 정도로 월세화가 강해졌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61.4%다.
1∼2월 기준으로 이 비중은 2021년 41.7%에서 2022년 47.1%, 2023년 55.2%에 이어 지난해 57.5%로 급격히 늘어난 뒤 올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4년만에 20% 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수도권보다 지방의 월세화가 가파르다.
이 비중은 수도권이 60.2%로 1년 새 3.1%포인트 증가했고, 지방은 63.5%로 5.4%포인트 늘었다. 서울의 월세 비중은 65.2%다.
아파트 월세 비중이 매년 조금씩 높아지는 반면 빌라로 대표되는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2월 44.2%로 1년 새 2%포인트 늘었다.
서울이 43.8%, 지방은 45.4%다.
같은 기간 비파아트 월세 비중은 76.3%로 1년 전보다 5.6%포인트 증가했다.
지방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2.9%로 가장 높고, 서울 76.1%, 수도권 73.2% 였다. 지방 빌라는 대부분이 전세가 아닌 월세 계약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 2년간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 전세 기피 현상과 함께 지방 부동산 침체가 월세화를 가속화한 주요 요인이 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집값이 오르지 않는 상황에서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월세로 전환하는 임대인이 늘었고, 기준금리가 인하되며 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지자 임대인의 월세 선호가 더 강해졌다는 것이다.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월세를 얼마 받을지 계산하는 비율인 전월세전환율이 높아지면서 세입자들의 월세 부담은 갈수록 늘고 있다.
올해 1월 기준 수도권 전월세전환율을 5.9%, 지방은 6.9%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금리 인하 기조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일부 임대인은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이 가능할 만큼 전가세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금 비율을 낮추고, 나머지는 월세로 전환하며 월세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경기 둔화로 금리가 낮아질수록 월세화 흐름은 강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chopark@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장제원 전 의원, 어젯밤 숨진 채 발견…"타살 혐의점 없어"
- ☞ "탄핵 관련 거짓말은 하지 않기로 해요"
- ☞ 김수현 "故김새론 미성년자 때 교제 안해…수사기관 통해 검증"
- ☞ 경찰, 故 김새론 명예훼손 유튜버 수사…유족에 접근금지도
- ☞ 4월 넘어온 尹대통령 탄핵심판…헌재 오늘 선고일 발표할까
-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머리 다친 20대 관중 끝내 숨져
- ☞ 임영웅, 산불 성금 4억원 기부…뷔 "군에서 접한 뉴스 마음쓰여"
- ☞ "서양 양아빠, 한국자매 6년간 성폭행…일부러 뚱뚱해진 소녀"
- ☞ 경쟁관계 이웃 청과물 가게 사장 흉기 살해한 40대 구속기소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집나간 외국인, 8개월째 순매도…4월엔 돌아올까 25.04.01
- 다음글"순대 6조각에 2만5000원" 바가지 상술 논란…해결 방법은 없나? 25.04.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