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 좋아하는 과자도 못사겠다"…연초마다 오르는 물가에 부글부글 [맛잇슈...
페이지 정보

본문
![]() |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
[파이낸셜뉴스] 고환율 기조와 맞물린 원재료 가격 인상에 따른 식품·외식 물가 상승으로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나서 식품사들을 대상으로 물가 안정 기조에 협조를 요청했지만, 상승 흐름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단체는 식품업계가 원재료 가격 상승 등에 따른 원가 부담을 이유로 매년 연말연시마다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따르면 지난 1월 가공식품 물가지수는 122.032020년=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2.2%을 상회했다.
가공 식품 중 오징어채22.9%가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이어 맛김22.1%, 김치17.5%, 시리얼14.7%, 유산균13.0%, 초콜릿11.2% 순이다.
조미료와 유지류인 참기름8.9%, 간장8.8%, 식용유7.8% 등은 7~8%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비스킷7.0%, 케이크3.3%, 빵3.2% 등도 3~7% 가량 올랐다.
식품업계는 올들어 제품 가격을 잇따라 올리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오는 17일부터 초코 빼빼로를 200원 올리는 등 26종 가격을 평균 9.5% 인상한다.
이달부터 편의점 판매가 기준 오뚜기의 컵밥 7종 가격은 12.5%, 옛날 사골곰탕 가격은 20% 각각 올랐다.
동아오츠카는 지난달 1일 포카리스웨트, 데미소다 등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 올렸고, 대상은 지난달 16일부터 마요네즈와 후추, 드레싱 등 소스류 가격을 평균 19.1% 인상했다. SPC 파리바게뜨는 지난 10일부터 빵 96종과 케이크 25종 가격을 평균 5.9% 인상했다.
![]() |
연합뉴스 |
원두 가격 상승으로 인해 커피 전문점의 메뉴 가격 인상도 이어지고 있다.
스타벅스 코리아는 지난달 24일부터 톨 사이즈 음료 22종의 가격을 200~300원 인상했다. 할리스도 같은 날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200~300원 올렸다. 폴바셋은 지난달 23일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200~400원 인상했다.
저가커피 업체인 컴포즈커피도 지난 13일부터 아이스 아메리카노와 디카페인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각각 300원씩 인상했다.
식품업계는 원재료 가격 상승과 물류비 부담 증가 등으로 인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식품업체들이 수입 원재료 가격 상승 등에 따른 원가 부담을 이유로 거의 매년 연말연시마다 제품가격을 인상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을 촉구했다.
협의회는 "우리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기의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혼란한 정국 상황을 틈타 이뤄지는 현재의 가격 인상이 기업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라면 엄중한 질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뜩이나 농수산물 물가 급등으로 서민들이 장보기를 두려워하는 시점에서 식품기업들마저 제품 가격을 올려 소비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며 "현재의 불안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도 합리적 대책을 시급히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 #물가 인상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하늘양 할머니의 충격 증언 "피묻은 여교사 몸에..."
→ 20분 일찍 출근 여직원 칭찬했는데...CCTV 보고 경악
→ "나이 속이고 14살 만나" 산다라박, 성착취 논란에 영상 삭제
→ "심각한 상태" 구준엽, 서희원 잃고 근육 소실을...
→ 이수근 아내 박지연, 안타까운 근황 "신장 이식받았지만..."
관련링크
- 이전글"부산에서도 왔어요"…성남 LH 사옥에 1800명 몰려든 사연 25.02.14
- 다음글"다 날렸다" 한순간 휴지조각…개미 울리는 이 부실 코인 수백개 25.02.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