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이틀 만에 3톤" 실버바도 텅…묵혀둔 은수저까지 판다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금을 사두려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돈을 주고도 요즘 시중에서 금을 사기가 쉽지 않다는 소식 최근에 전해 드렸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덩달아 은에 대한 수요도 늘면서 은 가격 역시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박재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의 한 금 거래소 사무실이 정신없이 돌아갑니다.
[송종길/한국금거래소 대표 : 각 지역으로 배송을 하려고 준비하고 있어요. 다 골드바입니다.]
고객이 구매해도 골드바 배송은 1~2주 뒤에야 가능합니다.
미니골드바까지 재고가 바닥입니다.
[송종길/한국금거래소 대표 : 대부분 지금 나가서 텅 비어 있는 거예요.]
이런 금 수요가 은으로까지 확산하면서 금고에 차 있던 실버바도 거의 동났습니다.
[송종길/한국금거래소 대표 : 이 실버바들은 오늘 출고돼야 하는데, 마지막 가지고 있는 걸 탈탈 털어서 지금 보내는 거죠.]
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는 인식에 은 수요가 꾸준히 늘면서 국제 은값은 연초보다 9.5%나 상승했습니다.
[투자자 : 지금은 싸니까, 어느 정도 많이 사서 보유는 하고 싶어요. 나중에 은도 어떻게 될지 모르는 거니까.]
오른 가격에 팔려는 사람도 늘다 보니, 이 거래소가 지난 일주일 동안 매입한 1kg짜리 실버바만 100개가 넘고 묵혀 놓았던 은수저 뭉텅이까지 들어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폭주하는 주문 물량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입니다.
[송종길/한국금거래소 대표 : 월 2톤 정도 실버바 판매됐던 게, 단 이틀 사이에 주문이 3톤이 넘었기 때문에 저희들이 일시적으로 순차적으로 배송하는 것도 한계가 있어서…]
이렇다 보니, 시중 은행들에 대한 실버바 공급도 한시적으로 중단했습니다.
금 열풍의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건데, 과열된 분위기에 편승한 투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진원, 디자인 : 장예은, VJ : 김 건
박재현 기자 repla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금을 사두려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돈을 주고도 요즘 시중에서 금을 사기가 쉽지 않다는 소식 최근에 전해 드렸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덩달아 은에 대한 수요도 늘면서 은 가격 역시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박재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의 한 금 거래소 사무실이 정신없이 돌아갑니다.
[송종길/한국금거래소 대표 : 각 지역으로 배송을 하려고 준비하고 있어요. 다 골드바입니다.]
고객이 구매해도 골드바 배송은 1~2주 뒤에야 가능합니다.
미니골드바까지 재고가 바닥입니다.
[송종길/한국금거래소 대표 : 대부분 지금 나가서 텅 비어 있는 거예요.]
이런 금 수요가 은으로까지 확산하면서 금고에 차 있던 실버바도 거의 동났습니다.
[송종길/한국금거래소 대표 : 이 실버바들은 오늘 출고돼야 하는데, 마지막 가지고 있는 걸 탈탈 털어서 지금 보내는 거죠.]
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는 인식에 은 수요가 꾸준히 늘면서 국제 은값은 연초보다 9.5%나 상승했습니다.
[투자자 : 지금은 싸니까, 어느 정도 많이 사서 보유는 하고 싶어요. 나중에 은도 어떻게 될지 모르는 거니까.]
오른 가격에 팔려는 사람도 늘다 보니, 이 거래소가 지난 일주일 동안 매입한 1kg짜리 실버바만 100개가 넘고 묵혀 놓았던 은수저 뭉텅이까지 들어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폭주하는 주문 물량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입니다.
[송종길/한국금거래소 대표 : 월 2톤 정도 실버바 판매됐던 게, 단 이틀 사이에 주문이 3톤이 넘었기 때문에 저희들이 일시적으로 순차적으로 배송하는 것도 한계가 있어서…]
이렇다 보니, 시중 은행들에 대한 실버바 공급도 한시적으로 중단했습니다.
금 열풍의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건데, 과열된 분위기에 편승한 투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진원, 디자인 : 장예은, VJ : 김 건
박재현 기자 replay@sbs.co.kr
인/기/기/사
◆ 23시 6분에 없었다 콕 집자…"동선 초단위, CCTV 봐라"
◆ "죽치고 있네" 문형배 음란물 댓글?…8시간 후 쓱 바꿨다
◆ 휴직 반복하다 복직해 살해…"화 느낀 우울증도 무관" 왜
◆ "어디에도 없다" 원장 신고…인기척 없던 집에 시신 충격
◆ 가스 내뿜은 자재, 연기 가둔 통유리…"방송도 잘 안 들려"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관련링크
- 이전글마이크론 "12단 곧 양산"···HBM 다급해진 삼성 25.02.14
- 다음글정용진 회장, 모친 이마트 지분 매입 완료…2251억원 투입 25.02.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