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GDP 0.2% 역성장…내수‧순수출 동반 부진
페이지 정보
본문
수입 늘고 소비#x2027;투자 부진…다섯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기조 깨져
건설투자 1.7%↓·설비투자 1.2%↓·민간소비 0.2%↓
교역조건도 악화…실질 국민총소득 1.4% ↓
건설투자 1.7%↓·설비투자 1.2%↓·민간소비 0.2%↓
교역조건도 악화…실질 국민총소득 1.4% ↓
올해 2분기 한국 경제가 깜짝 성장1.3%했던 1분기보다 0.2% 뒷걸음쳤다.
민간소비가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한데다 수입이 크게 늘면서 1분기 성장을 이끌었던 순수출까지 성장률을 끌어내렸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잠정치이 -0.2%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분기 기준 역-성장은 2022년 4분기-0.5% 이후 1년6개월 만으로, 다섯 분기 연속 이어진 플러스 성장 기조가 멈춰섰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수출이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1.2% 늘었다. 그러나 원유·천연가스·석유제품 등 위주의 수입 증가율1.6%은 수출을 크게 상회했다.
민간소비는 승용차·의류 등 재화 소비 부진으로 0.2%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1.7% 뒷걸음쳤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장비 등 기계류 중심으로 1.2% 축소됐다.
2분기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건설투자-0.3%p·설비투자-0.1%p·민간 소비-0.1%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분기 기여도가 0.8%p였던 순수출도 수출보다 수입이 크게 늘면서 2분기 성장률을 0.1%p 깎아내렸다.
정부소비0.1%p가 유일하게 플러스 기여도로 성장률을 끌어올렸다.
업종별 성장률을 보면 농림어업이 4.4%로 가장 높았고, 제조업도 운송장비 중심으로 0.8%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은 건물·토목건설이 줄어 6.0% 급감했고, 전기·가스·수도업도 수도·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 등을 위주로 1.0% 역성장했다.
서비스업은 운수업·부동산업은 늘었지만, 정보통신·도소매·숙박음식업 등이 부진해 1분기와 같은 수준성장률 0%을 유지했다.
2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보다 0.9% 증가했다.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7조7천억원에서 7조3천억원으로 줄어 명목 GDP 성장률1.0%을 하회했다.
실질GNI는 1.4% 감소했다.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무역손실이 11조3천억원에서 16조6천억원으로 늘고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5조9천억원에서 4조4천억원으로 줄면서 실질 GDP보다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이동직 기자 djlee@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21년 만에 빠진 메시와 호날두의 이름…2024년 발롱도르 후보
- 英명품업체 버버리, 런던증시 FTSE 100지수에서 퇴출
- 한미 "美대선 전후 北핵실험 등 도발 가능성 배제 안해"
- BMW 520i·볼보트럭 FH트랙터·제네시스 쿠페 등 리콜
- "원활히 가동된다"더니 응급실 찾은 尹…현장은 여전히 위기
관련링크
- 이전글KT 지니 TV 키즈랜드 어린이 작가 공모전 24.09.05
- 다음글방통위, 아이폰16 출시 앞두고 성지 과장광고 주의보 24.09.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