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한 달에 300만원은 필요한데"…연금 수령액 늘리는 꿀팁, 뭐길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은퇴 후 한 달에 300만원은 필요한데"…연금 수령액 늘리는 꿀팁, 뭐길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5-01-11 06:04

본문

올해 2차 베이비부머 본격 은퇴
자산·부채 리스트 만들고
연금 수령액 먼저 확인을

ISA 등 세테크 상품 굴리고
美중장기채권·金비중 늘려야
증권사 로보어드바이저 활용
퇴직연금 수익률 높여볼 만


quot;은퇴 후 한 달에 300만원은 필요한데quot;…연금 수령액 늘리는 꿀팁, 뭐길래



작년부터 한국의 단일 세대 중 규모가 가장 큰 2차 베이비부머1964~1974년생가 법정 은퇴 연령60세에 진입했다. 954만명에 달하는 이들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만 18.6%에 달한다. 1차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705만명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 ‘뉴실버세대’라는 평가를 받는다. 동시에 ‘마처세대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라는 말도 함께 듣는다.

또 2차 베이비부머는 이전 세대에 비해 실물자산이 증가했다. 기대수명 역시 이전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다수가 이전 세대처럼 노후 재테크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여전히 국민연금이나 가족에게 생활비를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작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인의 월 최소 생활비는 240만원, 적정 생활비는 336만원이다. 5년 전에 비해 각각 41만원, 45만원 정도 증가했다. 은퇴 이후 노후 부부들이 감당해야 하는 생활비 부담이 매년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반면 은퇴 가구주 중 노후 준비가 잘되어 있지 않다고 대답한 경우는 절반 이상53%이다. 은퇴 가구는 노령연금 같은 공적수혜금32%,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30%에 이어 생활비를 여전히 가족 수입이나 용돈24%에 의존하고 있다.

이제 은퇴 시점에 돌입하게 된 2차 베이비부머로서는 향후 은퇴자금을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더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재테크 전문가들이 은퇴를 앞둔 이들에게 필요한 전략을 조언했다.

우선 현재 본인의 재정 상태를 객관적으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은퇴의 정의는 다양하지만 자산관리 관점에서는 더 이상 수입이 발생하지 않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직장인은 근로소득이 끊기는 시점이 은퇴의 출발점이다. 즉 그동안 모은 자산을 가지고 향후 자녀 대학등록금이나 결혼자금, 본인 노후자금 등에 대응해 가야 한다. 이를 위해선 현재 본인이 어떤 재무적 환경에 처해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news-p.v1.20250110.ab1fd2eac4734331bf942da64761360e_P1.png


박태영 우리은행 TCE시그니처센터 PB지점장은 “현재의 금융자산예금·주식·투자신탁과 비금융자산부동산의 가치를 파악하고 부채주택담보대출·신용카드를 정리하는 자산 및 부채 목록화부터 시행하라”고 말한다. 이후 “은퇴 후 예상되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부동산 임대소득, 투자 수익 등이 어느 정도인지를 정리하라”고 덧붙였다.

박 지점장은 은퇴 비용을 미리 산정해볼 것을 제안했다. 은퇴 후 월 생활비, 의료비, 취미생활 등에 대한 예산을 세우고, 이를 위해 필요한 연간 소득을 계산하는 식이다. 여기에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효과를 고려해 필요한 자금 규모를 산정해보는 것이다.

정성진 KB국민은행 강남스타PB센터 부센터장도 본인이 수령하게 될 연금 상품부터 점검하라고 얘기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를 방문해 연금 수령 시점, 예상 수령액 등을 확인하고 동시에 직장에서 가입한 퇴직연금에 대해서도 수령 시점과 예상 수령액에 더해 현재 운용 중인 상품의 구성 현황을 꼼꼼히 살펴보라고 주문했다.

정 부센터장은 “기존에 가입한 연금 상품을 최대한 활용하게 되면 절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연금 수령 시 내는 연금소득세는 연금 개시 연령별로 차등 부과3.3~5.5%된다.

윤성은 하나은행 아시아선수촌PB센터 Gold PB부장은 “직장인은 세금과 건강보험료가 매월 자동으로 제하고 들어왔을 텐데 이제는 꼬박꼬박 따로 내야 하기 때문에 아깝게 느껴질 수 있다”면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개인형 퇴직연금IRP, 장기 저축성 보험 등 세테크 상품을 미리 준비할 것”을 조언했다.

민세진 신한 프리미어 PWM서울파이낸스센터 PB팀장은 “요즘처럼 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선 우량 고배당 기업에 투자하는 월배당 상장지수펀드ETF나 리츠REITs 등 금리 인하기에 매력적인 상품을 포트폴리오에 일부 미리 포함시켜두는 것도 좋다”고 말한다.

news-p.v1.20250110.8b8c0c9f798545a3b786e7d66dda5ea7_P1.png


프라이빗뱅커PB들은 현재 본인 상황을 파악했다면 향후 노후 생활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할 것을 주문했다.

민 팀장은 “소중하게 일궈온 자산을 지킬 수 있도록 ‘잃지 않는 투자’를 목표로 은퇴 전보다 다소 안정적으로 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비교적 안전한 예금과 채권, 현금성 자산을 위주로 단·중·장기로 기간을 나누거나 종합과세 대상자라면 소득이 높을 시기에 미리 금융소득을 분산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신용등급이 높은 우량채권 위주로 편입 비중을 늘리는 것도 방법이다.

박 지점장은 “포트폴리오에서 주식 비중을 줄이고 안정적인 채권 비중을 늘려야 한다”며 “고정 수익 상품채권·배당주 등과 안전자산현금성 자산·금 등의 비중을 늘려 은퇴 후 안정성을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보험을 통한 리스크 관리도 주문했다. 건강 문제에 대비해 추가적인 건강보험을 고려하고, 필요시 생명보험으로 가족의 경제적 안전을 확보하는 방안도 살펴볼 것을 주문했다.

윤 부장은 “변동성이 심한 상황에선 방망이를 짧게 잡고 가야 한다”며 “주식과 채권 비중을 비슷하게 하거나 채권을 소폭 우위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주식·채권, 국내 국공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짜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 주식 30% △국내 중장기 국채 20% △미국 중장기채 20% △미국 단기채 10% △유동자금 10%정기예금 또는 파킹통장 △중국 주식 5% △금 5%로 포트폴리오를 짜라고 제안했다.

정 부센터장은 “은퇴 자산 포트폴리오는 보유 자산의 비중을 조절하는 방법도 있지만 월 필요 생활비를 먼저 정하고, 여기에 월 연금액을 차감한 금액을 현재 보유 중인 자산에서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를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예를 들어 현금 자산 6억원이 있는 부부가 월 50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하고 현재 보유 중인 연금 자산으로 월 300만원 수령이 가능한 상황이다. 이때 나머지 월 200만원을 현재 보유 중인 현금 자산 6억원으로 어떻게 마련할지 설계해야 한다는 의미다. 6억원으로 월 200만원, 즉 연 2400만원의 수익이 발생하려면 연 4%의 세후 수익률을 제공하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 부센터장은 “앞선 예시의 경우 예금 상품만으로는 수익률을 맞출 수 없기에 투자 자산 편입이 필요하다”며 “손실이 생기면 안 되는 은퇴 자산이니 최대한 자산별로 시간적 분산을 통해 위험을 일부라도 헤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올해 새롭게 바뀌는 금융 제도도 꼼꼼히 살펴보라고 얘기한다. 민 팀장은 “새롭게 출시되는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서비스도 주목할 만하다”고 말했다.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를 위해 연금 자산관리도 인공지능AI 시대가 열리는데, 편리한 은퇴 자산관리가 가능해질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오늘의 운세 2025년 1월 11일 土음력 12월 12일·2025년 1월 12일 日음력 12월 13일

의사·변호사 다 제쳤다…초등학생 고학년 ‘장래희망’ 압도적 1위는

“아들 데려다 주는 차에서 불륜남과”…남편에게 걸리자 아내의 답변

나훈아, 탄핵 정국에 “왼쪽은 잘했나, 국민 위해 하는 꼬라지 맞나” [현장]

[속보] 美법원, 트럼프 ‘입막음돈 사건’ 유죄 확인…“실제 처벌은 안해”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81
어제
1,867
최대
3,806
전체
879,36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