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콧대 꺾인 샤넬 ···국내매출 역성장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단독] 콧대 꺾인 샤넬 ···국내매출 역성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5-02-17 16:31

본문

작년 4% 뚝···팬데믹後 첫 감소;명품 내리막 속 초고가는 늘어
[단독] 콧대 꺾인 샤넬 ···국내매출 역성장
서울 시내의 샤넬 매장 앞. 연합뉴스

[서울경제]

대표적인 해외 명품 브랜드 샤넬의 지난해 국내 매출이 전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1년 국내 법인을 설립하며 공식 진출한 샤넬의 매출이 역성장한 것은 2020년에 이어 두 번째다. 특히 2020년이 코로나19라는 특수 상황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사실상 처음으로 매출이 감소한 셈이다.


17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샤넬은 지난해 면세점을 제외한 국내 유통 채널 매출액 9831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1조 194억 원 대비 363억 원4% 감소한 수치다. 샤넬은 주요 판매처인 신세계백화점 등 국내 백화점 4사에서의 매출이 모두 3~9%가량 빠졌다.


샤넬은 2020년 팬데믹으로 매출이 급감했다가 2021년부터 보복소비에 힘입어 고성장을 해왔지만 지난해 경기 침체로 주 소비층이던 2030세대의 수요가 꺾이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디올 역시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10% 감소했으며 구찌는 무려 25%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루이비통은 1.8% 소폭 증가했다. 이 영향으로 국내에 진출한 명품 패션 브랜드 17곳의 지난해 매출은 6조 489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 줄었다.


반면 명품 패션 브랜드 중에서도 초고가 정책으로 유명한 에르메스는 지난해 19% 성장하면서 8203억 원의 매출을 올려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액세서리 하나에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까르띠에 등 하이엔드 주얼리 브랜드 8곳의 매출도 1조 78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 급성장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경기 침체로 명품 브랜드를 사던 2030세대 소비자들이 모두 빠져나가면서 샤넬·디올 등 상대적으로 대중성이 높은 럭셔리 브랜드의 소비가 줄기 시작했다”면서 “반면 명품 구매력이 높은 자산가일수록 럭셔리 브랜드의 가격 인상 정책을 반기면서 하이엔드 주얼리 등 초고가 제품을 구매해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진용 기자 yongs@sedaily.com김남명 기자 name@sedaily.com

[서울경제 관련뉴스]
힘든데 그만들 좀 하면 안 돼요?···故김새론, 속마음 털어놨었나
10년 불륜 들킨 내연남 괴로워하자 "이 약 먹어" 건넨 50대 결국
‘억 소리’ 났던 女골프 ‘사우디 행’···이소미 6.3억, 윤이나 2.3억, 김민선7 1.5억
권상우, 성수동 부동산 잭팟···10년만 시세차익 350억 예상
"명품 사는 인간들 얼굴 좀 보자"···매장서 침 뱉고 욕설한 50대男 결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735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9,13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