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5년만에 공매도 전면 재개…과거 3번의 재개 때 성적표는
페이지 정보

본문

1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공매도 전산 시스템 구축 시연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 위과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오른쪽 위이 모의 데이터를 이용한 불법 공매도 적출 방법을 지켜보고 있다. /뉴스1
◇지난 3번의 공매도 재개 땐 3개월 후 모두 수익률 ‘플러스’
2009년 6월 1일, 2011년 11월 10일, 2021년 5월 3일 등 지난 3번의 공매도 재개 때를 돌이켜보면 공매도 재개 자체보다는 글로벌 유동성이나 국내외 경기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그럼에도 공매도가 재개되면 외국인 자금이 국내 주식 시장에 들어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신증권 이경민 연구원은 “2009년과 2021년엔 특히 외국인의 대량 매수가 유입되며 코스피 상승을 주도했다”면서 “현재 낮은 코스피 밸류에이션과 가격 이점을 감안할 때 공매도 재개 시 수급 변화에 의한 단기 등락은 있겠지만, 외국인 순매수를 중심으로 코스피가 추가로 레벨업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3번의 사례에선 실제로 공매도 재개 직후 1개월의 성과는 갈렸다. 2009년엔 코스피가 0.24% 올랐지만, 2011년과 2021년에는 각각 4.77%, 2.93% 올랐다. 하지만 공매도 재개 후 3개월 성과는 양호했다. 2009년엔 코스피가 14.7% 올랐고, 2011년과 2021년엔 각각 10.0%, 2.84% 올랐다.
◇“공매도 재개 앞두고 대차 잔고 늘어난 종목들은 주의 필요”
대차 거래는 투자자가 다른 투자자에게 일정한 수수료를 받고 주식을 빌려주는 거래다. 이 때문에 시장에선 대차 거래 잔고를 공매도의 선행 지표로 여긴다.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유가증권 시장 대차 잔고는 급격히 늘었다. 2023년 11월 90조원에 육박했던 유가증권 시장 대차 잔고는 공매도 금지 이후 줄어들기 시작해 작년 8월엔 45조원 수준까지 급감했다. 하지만 공매도 재개를 앞둔 올해 초 대차 잔고는 50조원을 돌파하더니 지난 30일 기준으로 66조6401억원까지 회복했다. 김민규 KB증권 연구원은 “대차 잔고가 늘었다고 반드시 공매도가 몰리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대부분 공매도 금지 전에 공매도가 활발했기에 공매도 재개 이후에도 활발해질 가능성이 크다”며 “이들 중에서도 펀더멘털이 개선되는지 여부 등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라고 했다. 지난 24일부터 28일까지 유가증권 시장에선 LG에너지솔루션4251억원의 대차 잔고가 가장 많이 늘었고, 카카오1337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1121억원, 네이버94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에선 에코프로의 대차 잔고가 1173억원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고, 알테오젠1118억원, HLB517억원, 루닛402억원 등의 순으로 대차 잔고가 많이 늘었다.
◇“공매도 변동성 피하고 싶으면 반도체·은행·방산주 주목”
공매도 재개로 증시가 다소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이겠지만, 특정 업종엔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는 단기적인 수급 노이즈에 그칠 것”이라면서 “오히려 이 같은 수급 노이즈는 역설적으로 특정 업종에 투자 기회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권가에선 반도체와 자동차, 철강 등의 업종을 공매도 재개의 ‘안전지대’로 꼽고 있다. 다올투자증권은 “공매도 재개로 유동성이 개선되면서 대형주 강세가 기대된다”면서 “공매도 변동성을 피하고 싶다면 반도체, 은행, 방산을 선택하라”고 조언했다. 맥쿼리증권도 공매도 전면 재개가 한국 증시에 부정적이기보다는 중립 내지 긍정적인 이벤트라고 평가하며 공매도 재개 이후 초과 성과를 보일 만한 종목으로 SK하이닉스, 현대차, 기아 등을 꼽았다.
◇거래소, “공매도 중앙 점검 시스템 가동”
한국거래소는 공매도 전면 재개에 맞춰 공매도 법인의 거래 내역을 상시 점검할 수 있는 공매도중앙점검시스템NSDS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NSDS는 공매도 법인의 매도 주문을 상시 점검함으로써 불법 공매도를 즉시 적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 함께 공매도 투자 법인에서는 기관 내 잔고 관리 시스템을 통해 공매도 등록번호별로 종목별 매도 가능 잔고를 실시간으로 산정해 잔고 초과 매도호가 주문을 사전 차단한다. 거래소는 금감원, 금투협은 유관 기관 공조를 통해 공매도 전산 시스템을 신속하게 안착시키는 한편, 시스템 고도화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조선닷컴 핫 뉴스 Best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안중현 기자 jhahn@chosun.com
관련링크
- 이전글"공매도 금지 해제, 코스피 상승 촉매제" 반기는 해외 투자자들 25.03.30
- 다음글오늘 공매도 전면 재개…5월까지 과열 종목 지정 확대 25.03.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