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급등한 공사비플레이션, IMF때보다 힘들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30% 급등한 공사비플레이션, IMF때보다 힘들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9회 작성일 23-12-06 03:03

본문

뉴스 기사
위기의 건설 현장 목소리들

올 하반기 서울 정비 사업 최대어로 꼽혔던 동작구 노량진1구역 재개발 조합은 지난달 시공사 입찰을 진행했으나, 선정에 실패했다. 애초 조합은 3.3㎡1평당 공사비를 695만원으로 책정했으나, 최근 금리와 자재 가격 상승을 고려해 35만원5% 올려 730만원으로 입찰에 부쳤다. 하지만 입찰에 참여한 건설사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입찰 참여를 검토했던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고금리에 인건비, 시멘트 값도 크게 올랐고, 미분양을 피하려면 인테리어 자재도 고급을 써야 한다”며 “평당 공사비가 최소 800만원 가까이 돼야 한다는 판단에 입찰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건설 공사비 인플레이션 현상이 심각한 상황에 빠져들고 있다. 실제 현장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 보니 지난 2년간 30% 가까이 급등했던 공사비 상승세가 올해도 멈추지 않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 건설사 구매 관계자는 “금리와 자재 가격이 지금처럼 동시에 오르는 것은 ‘IMF 사태’ 때도 없었던 천재지변 같은 상황”이라며 “금융 비용 등을 고려하면 지어도 손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의균

그래픽=김의균

◇급등한 공사비 “천재지변 같다”

5일 주거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지역 재건축·재개발 평균 공사비는 3.3㎡당 673만원으로 2년 전528만7000원에 비해 27.3% 상승했다. 전국 정비사업 평균 공사비도 같은 기간 3.3㎡당 480만3000원에서 606만5000원으로 26.3%126만2000원 뛰었다.

건설업계에선 정비사업 공사비를 크게 재료비45%, 노무비40%, 기타 경비15%로 나눠 책정한다. 코로나 팬데믹대유행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거치면서 재료비와 노무비가 큰 폭으로 뛰었다. 시멘트 가격은 2021년 하반기 t당 7만8800원에서 올 하반기 11만2000원으로 42% 급등했다. 건설공사 평균 일당 역시 2021년 하반기 23만5815원1일 8시간 기준에서 올 하반기 26만5516원으로 12.6% 올랐다.

하지만 현장에서 체감하는 공사비 부담은 이런 통계보다 훨씬 심각하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주 52시간제와 레미콘 차량 8·5제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만 운행 시행으로 예전보다 투입해야 하는 인원이 훨씬 늘었다”며 “현장에서 체감하는 인건비 상승률은 30%가 넘는다”고 말했다.

금리 부담도 크다. 중소 건설사들의 조달 금리는 20% 안팎이고, 대형 건설사도 10% 정도 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이런 고금리를 버티면서 사업을 하는 것은 무모한 일”이라며 “기존 인력을 놀릴 수 없어,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으로만 사업을 한다”고 말했다.

◇공사비 급등에 착공도 못 해

공사비 급등 파장은 건설사 영업뿐 아니라 주택 공급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에선 시공사와 조합 간 갈등으로 착공과 분양이 미뤄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서울 성북구 장위6구역은 철거까지 마무리됐지만, 시공사와 공사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아직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다. 2019년 조합과 시공사인 대우건설은 3.3㎡당 427만원에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최근 대우건설은 600만원 수준으로 공사비를 조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서울 송파구 잠실진주잠실래미안아이파크 재건축도 시공사삼성물산·HDC현대산업개발와 공사비 갈등으로 올 4분기로 예정됐던 분양 일정이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첫 삽을 뜨는 순간부터 자재비 급등의 부담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차라리 공사 지연에 따른 비용을 치르더라도 착공을 미루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9월 공사비 분쟁을 겪는 현장에 전문가를 파견해 중재하는 대책까지 발표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정비 사업이 지연되면 도심 주택 공급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공사비 갈등이 발생할 때 어떤 기준에 따라 증액할지 강제력 있는 규정이나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신수지 기자 sjsj@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092
어제
2,105
최대
3,806
전체
663,25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