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홍콩H지수 ELS 주요 판매사 8일부터 현장검사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금감원, 홍콩H지수 ELS 주요 판매사 8일부터 현장검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4-01-07 13:13

본문

뉴스 기사


홍콩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일부 판매사가 수수료 수익을 위해 판매한도를 증액한 사실이 금융감독원 조사에서 드러났다. 금융당국은 12개 주요 판매사에 대해 현장검사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이달부터 홍콩H지수 ELS의 만기가 돌아오면서 투자자 손실이 현실화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 8일부터 주요판매사 현장검사 시작


지난달 15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홍콩H지수 투자자들이 집회를 하고 있다.

지난달 15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홍콩H지수 투자자들이 집회를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8일부터 홍콩H지수 ELS 주요 판매사 12곳KB국민·신한·하나·NH농협·SC제일은행, 한국투자·미래에셋·삼성·KB·NH·키움·신한투자증권에 대한 현장검사를 순차적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업권별 최대 판매사인 KB국민은행, 한국투자증권을 시작으로 이달 중 나머지 10개 판매사에 대해서도 검사를 실시한다. 국민은행, 한국투자증권에 대해서는 분쟁민원 사실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민원 조사도 동시에 실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분쟁 민원에 대해서는 판매원칙에 대한 실질적 준수여부와 함께 투자자 자기책임 원칙을 균형있게 고려해 처리할 방침”이라며 “형식적 요건 준수 뿐 아니라 판매과정에서 소비자 보호 기능의 실질적 작동여부를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11~12월 실시된 홍콩H지수 ELS 판매사에 대한 현장 및 서면 조사에서는 판매 한도관리 미흡 등 판매 관리체계상의 문제점이 발견됐다. 일부 판매사는 2021년 초 홍콩증시의 위기상황을 고려해 홍콩H지수 ELS 판매를 억제해야 했음에도 오히려 판매한도를 늘린 것으로 드러났다.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커지면 판매사 자체 기준에 따라 판매한도를 줄여야 하는데 이를 지키지 않은 것이다.

박충원 금감원 부원장보는 “KB국민은행의 경우 변동성이 30% 이상이면 자체적으로 목표금액의 50%만 판매하겠다는 내부 규정이 있었다”며 “하지만 자체적으로 목표금액의 80%까지 한도를 끌어올려서 판매한 사례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수익률이 높은 고위험 ELS 상품 판매 실적 등을 핵심성과지표KPI 배점에 포함시켜 영업점에 ELS판매 확대를 유도한 것도 확인됐다. 은행권 KPI에서 고위험 ELS 등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점수 비중은 30~40% 정도로 높았다. 이외에도 금융소비자보호에관한법률에 따라 10년 간 보관해야 하는 신탁계약서, 투자자정보 확인서 등 계약 관련 서류를 미보관한 사례도 발견됐다.

H지수 ELS 10.2조원 올해 상반기 만기도래


홍콩H지수 ELS 판매 현황 | 금융감독원 제공

홍콩H지수 ELS 판매 현황 | 금융감독원 제공



홍콩H지수 ELS 분기별 만기도래금액 분포 | 금융감독원 제공

홍콩H지수 ELS 분기별 만기도래금액 분포 | 금융감독원 제공



홍콩H지수 ELS는 기초자산인 홍콩H지수의 급락에 따라 대규모 투자 손실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11월15일 기준 금융권의 홍콩H지수 ELS 총 판매 잔액은 19조3000억원인데, 이 중 79.6%인 15조4000억원의 만기는 올해 중 도래한다. 상반기에만 10조2000억원52.7%의 만기가 집중돼 있다.

홍콩H지수 ELS는 은행에서 15조9000억원24만8000계좌, 증권사에서 3조4000억원15만5000계좌이 판매됐다. 17조7000억원91.4%이 개인 고객에게 판매됐으며, 이 중 65세 이상 고령 투자자에게 5조4000억원30.5%가 판매됐다.

65세 이상 고령 투자자의 비중은 계좌 기준으로는 8만6000계좌로 전체의 21.6%를 차지했다. 과거 파생결합증권 투자 경험이 없는 투자자의 비중은 계좌 기준으로 3만4000계좌로 8.6%를 차지했다.

박채영 기자 c0c0@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이준석, 尹 거부권 행사에 “방탄권 아닌데···왜 50억 클럽 쉴드?”
· 늙으면 왜, 음식을 흘리며 먹을까요
· [단독]오메가엑스 향한 ‘성추행·폭행’ 법원은 ‘사실’로 봤다
· ‘김건희 특검’ 尹과 시종일관 일치한 한동훈···6·29는 없었다
· 아이유의 끝없는 선행…양평군에 1000만원 기부
· 북한, 연평도 일대서 200여발 이상 사격
· 尹, ‘김건희 특검법’ 재의요구…사상 처음 가족비리 특검 거부권 행사
· “어머 이건 사야해!” 결심한 순간, 기억할 것들
· ‘반성’ 없던 재벌. 스스로 무너지다
· 이재명 집도의 “1.4cm 자상, 어려운 수술···부산대병원서 전원 요청”

▶ 플랫, ‘입주자 프로젝트’ <엄마 성 빛내기> 시작!! 엄마>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68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54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