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 플라스틱 빨대 없앤 마시는 뚜껑 컵얼음 전국 확대
페이지 정보

본문
- 지난해 수도권 시범 운영…이달 전 점포 전면 도입
- 年 플라스틱 200톤·온실가스 1000톤 저감 효과 기대 - 누수 테스트·캡 복원력 강화 등 상품 완성도 높여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BGF리테일282330이 운영하는 편의점 CU는 지난해 수도권 점포를 중심으로 도입했던 ‘마시는 뚜껑 컵얼음’을 이달 초부터 전국 1만7000여 점포로 확대했다고 19일 밝혔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플라스틱 1톤 당 평균 5톤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CU는 이번 마시는 뚜껑 컵얼음 전국 점포 확대에 따라 연간 1000톤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34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는 효과와 같다. CU는 이번 상품을 선보이기 위해 협력사와 지난 2021년 8월부터 시제품 개발 및 누수 테스트를 통해서 상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뚜껑 가장자리를 주름 모양으로 가공하는 리밍 공정을 강화해 음료를 기울였을 때 컵과 뚜껑의 이음새에서 음료가 새는 것을 방지했다. 입과 직접 닿는 부분인 ‘캡’ 부분이 깨지지 않도록 경도와 복원력을 강화하며 상품의 안정성도 높였다. 또 상품 보관 시 뚜껑 위로 상품을 겹쳐 보관하는 경우를 고려해 캡 부분이 다른 상품과 닿지 않도록 마시는 부분을 움푹 들어간 모양으로 구획화 하는 등 위생도 신경 썼다. CU가 적극적으로 일회용품 감축에 나선 것은 생활 속 주요 소비채널로서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동참하고 일회용품 저감 문화 확산에 앞장서기 위해서다. 환경부는 지난 2019년 종합 소매업 전반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1회용품 함께 줄이기 계획’을 발표했다. CU는 이번 컵얼음 뚜껑 변경에 대한 고객 안내를 강화해 플라스틱 줄이기에 대한 고객 동참을 유도하고 지속적으로 관련 인식 개선에 힘쓸 계획이다. 정승욱 BGF리테일 음용식품팀장은 “환경 보존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업계에서 가장 선제적으로 마시는 뚜껑 컵얼음을 전면 도입했다”며 “CU는 앞으로도 일회용품 사용 저감을 위한 관련 개발을 이어가며 편의점의 친환경 문화 확산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U는 녹색경영 실천 로드맵을 바탕으로 △무無라벨 자체브랜드PB 생수 도입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폴리젖산PLA 간편식 용기 적용 △즉석원두커피 무표백 크라프트 컵 도입 △PB 상품 재활용 등급 표기 △커피 찌꺼기커피박 데크 개발 등 고객의 친환경 생활 문화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한국ESG기준원KCGS이 진행하는 지난해 ESG 평가에서 업계 최초로 3년 연속 통합 A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 ▶ 관련기사 ◀ ☞ MZ 권리의식 때문에 괜찮다는데…20대 62% "연차 마음대로 못써" ☞ 고속도로서 홧김에 정차한 남편, 아내 버스 치여 사망 ☞ 집 갈래 외친 BTS 뷔, 올 현금 매입한 곳은? ☞ "나한테 친절했다"며 162회 연락…50대 스토킹 혐의 유죄 ☞ 中 관광객 돌아오자…올리브영, 명동상권 매출 29배 껑충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남궁민관 kunggija@ |
관련링크
- 이전글한국 빅3 기업 매출 다 합쳐도···中 이 회사보다 못 벌었다는데 23.03.19
- 다음글억소리 나는 벤츠 전기 SUV 韓서 고속 질주 23.03.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