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빅3 기업 매출 다 합쳐도···中 이 회사보다 못 벌었다는데
페이지 정보

본문
순이익도 5조 많아 압도적 격차;LFP 저가 공세에 국내사 위기감
[서울경제] 글로벌 배터리 시장 1위인 중국의 CATL이 지난해 한국 배터리 ‘빅3’를 압도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CATL은 주력 제품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최근 저가 공세에 나서고 있어 국내 배터리 3사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19일 에너지 리서치 기관 SNE리서치와 외신 등에 따르면 중국 CATL의 지난해 매출은 3286억 위안약 62조 4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2% 증가했다. 이는 LG에너지솔루션37322025조 5000억 원, 삼성SDI20조 1000억 원, SK온7조 6000억 원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매출액을 모두 합한 것보다 10조 원가량 많은 수치다.
순이익도 국내 3사를 훌쩍 넘어섰다. CATL의 지난해 순이익은 307억 2000만 위안약 5조 8000억 원으로 지난해 대비 92% 올랐다. 이 역시 국내 배터리 3사의 순이익을 압도하는 모습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의 순이익은 각각 7000억 원, 8000억 원이었다. SK온은 1조 원대 순손실을 나타냈다. 시장점유율 격차도 벌어졌다. CATL의 지난해 시장점유율은 37%로 전년 대비 4%포인트 올랐다. 2위 LG에너지솔루션은 23%로 같은 기간 6.5% 하락했다. CATL의 높은 이익은 다시 대규모 투자로 이어지고 있다. CATL의 지난해 연구개발에 1년 사이 102% 오른 155억 위안2조 9000억 원을 썼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각각 8000억 원, 1조 원을 지출했다. 한편 중국과 격차가 커지면서 국내 배터리 3사도 중국이 장악한 LFP 배터리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한국 배터리 3사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비싸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주로 생산했지만 가격 경쟁력이 높은 LFP 배터리를 채택하는 완성차 업체들이 많아지면서 국내 업체들도 관련 제품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업체들은 1위 CATL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에서 CATL발發 ‘치킨게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서다. 실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최근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배터리 산업 호황이 흩어지지 않을까 두렵다”고 밝혀 배터리 확장 과열에 속도 조절을 주문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박호현 기자 greenlight@sedaily.com[서울경제 관련뉴스] 전기차 통합 플랫폼 이브이링크, 인터배터리 2023 참가 주요 그룹 총수도 감탄···인터배터리 미래기술 수놓았다 [biz-플러스] "기형·저체중아 위험성 높여"···임신 중 이 약 주의해야 단지 힙한 동네인 줄 알았는데···성수동에 거대한 이것 만든다 수상한 치약 갖고 온 베트남 女승무원들···"사형 당할 수도" |
관련링크
- 이전글"내집 두고 모텔 전전" 주민 뿔났지만…법원 판단은 달랐다 23.03.19
- 다음글CU, 플라스틱 빨대 없앤 마시는 뚜껑 컵얼음 전국 확대 23.03.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